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riteria Improvement on the Designation of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and the Current Conditions Alteration in Non-Urbanized Area - A special Emphasis on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

비시가화지역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설정 기준 및 현상변경기준의 개선 방안 - 경기도 소재 조선왕릉을 중심으로 -

  • Choi, Hyung-Seok (Dept. of Urban Engineering and Real Estate Development, The University of Suwon)
  • 최형석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도시부동산개발학과)
  • Received : 2013.08.13
  • Accepted : 2013.09.26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are larger than those around other Cultural Assets, so more efficient management tools on the Areas should be need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policy to modify the existing management tools by analyzing the spatial extent and alteration standards of the 12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round Chosun Royal Tomb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ost cases, the spatial extents of the Areas are 500m, but the spatial extents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in Gyeonggi Ordinance of Cultural Assets Protection, and be excluded according to the layout of Protection Areas and roads. And the outside view from the inside is more important in Chosun Royal Tombs, so the areas on the axis of the view must be controled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density(bulk or height of buildings). Second, the same zoning areas must be classified as the same section of the Area allowing for equity, and Finally, the Current Conditions Permission Criteria should be actualized to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densities of zoning araes and the Criteria.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은 등, 2009, 원형경관(原型景觀)의 개념 정립 및 형성요인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2. 김철홍과 최형석, 2003, 문화재 주변 사전 검토와 현상변경 허가에 의한 개발행위 제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4(4).
  3. 남하영, 강영환, 2009, 도시형 문화재의 입지환경 보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
  4. 문화재청, 2008, 문화재주변 영향검토구역 개선 연구용역.
  5. 박재완(2010),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허부의 적법여부에 관련된 대법원 판례에 대한 분석. 법학논총 23(1).
  6. 박재영, 최형석, 2011,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건축물 높이허용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경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
  7. 백승석, 김용기, 2002, 문화재 보호구역 주변 현상 변경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
  8. 백종철 등, 2008,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기준안 작성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9. 서주환, 오지훈, 2010,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10. 오성훈 등, 2004, 관찰자기준의 도심문화재주변 높이제한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4).
  11. 이영, 안동만, 2010, 환경색채 추출을 통한 농촌마을 지붕 개선색채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3).
  12. 임병을 등, 2009, 김포 장릉(章陵) 주변지역의 현상 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13. 장윤배 등, 2010, 문화재 입지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와 규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5(4).
  14. 최종희, 2007,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마련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5. 최종희 등, 2008, 홍유릉(洪裕陵)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 및 토지이용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16. 한별, 박소현, 2010, 문화재 및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관련 갈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11).
  17. 岡山県, 1995, 岡山県景観条例関係集, 岡山県 地域振興部環境調整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