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Measure of Rural Villages Landscapes Level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Hee-Jung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Kim, Dae-Sik (Dept. of Agri. Eng., College of Agri. & Life Sciences, Chungnam Nat'l Univ.)
  • 송희중 (한국농어촌공사) ;
  • 김대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토목학과)
  • Received : 2013.08.22
  • Accepted : 2013.09.25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In this study, it provides the diagnostic index for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this study first analyzed documents and papers on the landscape formation. Landscape types are also classified by their function and then landscape index was developed by AHP method. Classification system was categorized as three steps: 2 items for 1st step, 10 items for 2nd step, and 20 items(criteria) for 3rd step. In the survey of weighting values with AHP method, th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step showed that rural village landscape is more important than landscape around the village by approximately 20%. In the second step, residence i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village tree planting, and then farmland around the rural villages, greenery, and water environment. In the third step, the feng shui i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ree planting, village forest, culture, and history. While vehicle maintenance, village alleys and pedestrian facilities are rated lower. In index of the around the village, weighting value for index of the farm land and skyline has the highest value. While species richness, water quality and water resources were rated relatively low. In the future, the rural landscapes diagnosis index will be appli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 rural villages landscapes and it is expected to propose political support for the landscapes form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민수희, 김상범, 임승빈, 2010, 농촌 원형경관의 문화재적 가치 속성 및 중요도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117-129.
  2.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6(3), 27-41.
  3. 김상범, 강방훈, 김혜민, 2006, 농촌경관의 요소별 선호도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 김상범, 강방훈, 김혜민, 2006, OECD 농업경관지표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특성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2006 농림과학기술대전 학술행사 논문집.
  5. 김상범, 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13-18.
  6. 김성학, 양병이, 2009,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3), 82-90.
  7. 김용수, 박찬용, 2007, 도시근교 택지개발지역의 경관계획지표 적용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3), 51-60.
  8. 김충희, 김동찬, 2010, 농촌경관의 시각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23-32.
  9. 김한수, 오충현, 2011,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1-13. https://doi.org/10.7851/ksrp.2011.17.3.001
  10. 나정화, 구지나, 이현택, 조현주, 2011, 토지의 경관 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5), 57-75.
  11. 나정화, 류연수, 2002, 도시 비오톱의 자연체험 가치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0(3), 1-11.
  12. 나정화, 류연수, 사공정희, 2001,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 비오톱의 가치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1), 100-112.
  13. 나정화, 이정민, 2002,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128-140.
  14. 나정화, 조현주, 이현택, 김진효, 박천진, 2011, 자연 체험 및 휴양가치 등급 설정을 위한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27-41.
  15. 나정화, 채인홍, 사공정희, 류연수, 2003, 도시계획 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1(5), 31-42.
  16. 박근동, 홍선표, 노희철, 황재훈, 2012, 경관유형별 경관요소 중요도 및 상관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7(7), 129-139.
  17. 박천진, 나정화, 조현주, 김진효, 권오성, 2012,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협개발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40(4), 114-126.
  18. 반영운, 김민아, 정재호, 백종인, 2009, 가법형 통합 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농촌경관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2), 27-42.
  19. 반영운, 백종인, 김민아, 윤진옥, 2008,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3), 53-61.
  20. 배민기, 박창석, 오충현, 2012, 경관단위 기반 수변환경의 심미적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40(1), 43-56. https://doi.org/10.9715/KILA.2012.40.1.043
  21. 백종인, 반영운, 우혜미, 초나래, 2010, 공간유형별 농촌경관 평가 및 비교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1-11.
  22. 손주동, 안동만, 2006, 농촌경관 선호도와 농촌다움에 기초한 농촌 경관 관리 연구, 2006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 발표회 논문집.
  23. 신지훈, 2010, 농촌경관의 보전 및 개선을 위한 경관사업의 도입 방안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77-86.
  24. 안명준, 배정환,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 2008, 농촌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2), 77-84.
  25. 양병이, 이관규, 2000,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8(2), 97-107.
  26. 엄대호, 김대식, 김태철, 김은순, 2006, BSC에 의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43-55.
  27. 유주한, 정성관, 2002,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한국조경학회지, 30(2), 39-49.
  28. 이관희, 박종웅, 권수광, 김영표,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2), 13-17.
  29. 이상문, 최형석, 박청석, 주신하, 신지훈, 2007, 자연 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13(3), 23-32.
  30. 이승한, 김대식, 2010,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3), 43-49.
  31. 이우성, 2011,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5), 1-11.
  32. 이정아, 이유경, 이상우, 전진형, 2011, 수변 농촌마을의 경관 자원 우수성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91-101.
  33. 장래익, 이명우, 2009,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 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지, 37(4), 22-31.
  34. 장철규, 정성관, 김경태, 2011, 도시개발사업의 경관 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9(3), 39-50.
  35. 정순오, 2009, 도시림의 보호 및 증진관리를 위한 계획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135-146.
  36. 조유경, 공은미, 2011, 경관제어요소에 관한 전문가 집단 간 인식차이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2), 29-39.
  37. 조현주, 이현택, 사공정희, 나정화, 2010, 비오톱의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8(4), 11-24.
  38. 주신하, 김영희, 2011,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4), 1-10.
  39. 주신하, 백운해, 신지훈, 목정훈, 2008,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6(4), 74-82.
  40.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2007, 농촌 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21-132.
  41. 한봉호, 최진우, 염정헌, 안영희, 2012, 택지개발지역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원녹지확보 적용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40(1), 34-42.
  42. 허지연, 이경재, 한봉호, 2011, 도심 산지형공원의 생물서식 기능 및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4), 83-97.
  43. 홍석환, 이경재, 2008, 시가화지역 생태적 유형구분 을 위한 관련지표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2), 24-31.

Cited by

  1. A Study on Application of Landscape Diagnosis Index and Landscape Formation Plan of Rural Villages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149
  2. 농촌마을의 실증적 조사·진단기법 개발(I) -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진단지표의 개발 - vol.27, pp.2, 2013, https://doi.org/10.7851/ksrp.2021.27.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