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Learning Contents in Distance Teacher Training for Quality Improvement

콘텐츠 품질 향상을 위한 교원연수 이러닝 콘텐츠 분석

  • 김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러닝학과)
  • Received : 2013.06.24
  • Accepted : 2013.08.05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67 kinds of e-learning contents in an attempt to boost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teacher trai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learning contents were rated highest in terms of 'training content,' followed by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evaluation' and 'interaction.' The scores of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evaluation' and 'interaction' were below 80 that was the standard of quality certification. In mean comparison(ES) of contents quality level between certified contents and non certified contents, 'instructional design' had the largest ES(effect size), followed by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evaluation'. In th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most of factors had a large effect such as 'webpage layout', 'sele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uggest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for distance teacher training.

본 연구에서는 교원 원격 연수의 연수 효과 제고를 위해 총 67종의 이러닝 콘텐츠에 대해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수 내용' 영역이 가장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설계', '교수학습 전략', '평가', '상호 작용' 순이었다. '교수학습 전략', '평가', '상호 작용'은 품질인증 기준인 80점 미만의 점수를 나타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된 콘텐츠와 부적합 콘텐츠 간의 품질 수준차이 분석에서는 '교수 설계', '교수학습 전략', '평가' 평가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ES)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요인분석에서는 '화면구성', '교수학습 전략 선정' 등의 대부분의 평가 요인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원격 연수를 위한 이러닝 콘텐츠 개발에서 어느 부분을 개선해야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술표준원, 정보기술-용어-제36부 : 학습, 교육, 훈련, KS X ISOIEC 2382-36, 2006.
  2. ISO/IEC JTC1 SC36, Information Technology-Vocabulary- Part 36 -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N1282, ISO/IEC JTC1 SC36, 2006.
  3. 지식경제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년 이러닝 산업실태조사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4.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교육연수원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6.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7. 교육인적자원부, 원격교육연수업무 혁신매뉴얼,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연구과, 2006.
  8. 김용, 김자미, 서정만, 우세철, 이영민, 이은정, 초중등교육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 2.0)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9. 김자미, 김종혜, 김홍래, 김용, 조경희, 이러닝 품질관리 연수교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10. 김용, 신성욱, 안상미, 김자미, 손경아, 전종호,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11. 고용노동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터넷원격훈련 심사 세부사항 설명회 자료집, 2012.
  12. http://www.e-simsa.or.kr/guide/postGuide1.do
  13. 교육과학기술부.평생교육진흥원, 2012년도 학점 은행제 평가편람 -원격기반학습과목단위-, 2012.
  14.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러닝품질인증가이드라인-콘텐츠-, 2009.
  15. 정화영, 홍봉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자 수준별 콘텐츠 구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402-410,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402
  16. 김미혜,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 기반 이러닝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524-53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524
  17. 김지선, 박진아, "멀티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6권, 제1호, pp.115-119, 2010.
  18. B. J. Zimmerman and D. H. Schunk, Self -regulated of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Verlag, 1989.
  19. Relan, A. and Gillani, B. B. Web based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al classroom: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B. H. Khan(Ed.),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 NJ: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1997.
  20. 김자미, 김용, 이원규,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38-1844,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5.1838
  21. 김자미, 김용, 박지현, 홍기환, 원격교육연수원 수요자 만족도 조사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22. 김창수, 이성호, 오은혜, "디지털콘텐츠의 상호 작용요인이 몰입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12-224, 2011.

Cited by

  1. Development of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vol.12, pp.2,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2.475
  2. A Case of Developing Teacher Training System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