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fluencing Elderly's Suicidal Ideation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일영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is study's aim was to attes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s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 which social participation affected to elderly's suicidal ideation. Analysis data were Seoul Welfare Panel Data 2th wave(2010). A total of 1,429 cases aged over 65 were used for this study. Analysis method was AMOS 18.0'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obel test was used for attesting mediation effects's significance degree. Analysis results had established that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s fit was favorable, and all path coefficients had significance degree. Therefore, this model was suitable for this study. Also this results had proved that this study's model was full mediation model, and it means that if mediation variables controlled, and then direct effect was excluded. And analysis results confirm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mediation effect had significance, by using a sobel test.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group and individual, and presented intervention plans.

본고의 목적은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에 본고는 서울시복지패널 2차 년도(2010년) 자료에 기재된 총 6,304케이스 중, 65세 이상 1,429명을 분석대상으로 추출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검증방식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고 경로계수가 유의하여 본 모형이 분석에 적절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매개변수가 통제되면 직접효과가 상실되는 완전매개모형이 성립되었다. 그리고 sobel 검증방식을 응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의수준이 확증되었다. 이에 본고는 제시된 결과를 기반으로, 2차 집단과 개인 간 관계의 중요성과 개입방안을 추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 오인근, 오영삼, 김명일,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1호, pp.113-136, 2009.
  3. 신학진, "노인차별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절망과 우울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56권, pp.191-216, 2012.
  4. 윤현숙, 구본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2호, pp.303-324, 2009.
  5. 김동배, 박서영, "노인의 사회관계망 특성과 자살 생각 관계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24권, pp.109-129, 2010.
  6. H. O'Connell, A. V. Chin, C. Cunningham, and B. A. Lawlor, "Recent developments : Suicide in older people," Clinical review, Vol.16, No.8, pp.895-899, 2004.
  7. 김미령,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사회적 심리적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47권, pp.113-136, 2010.
  8.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9. 서문진희, 이현아, "주관적 건강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361-385, 2011.
  10. H. O'Connell, A. V. Chin, C. Cunningham, and B. A. Lawlor, "Recent developments : Suicide in older people," Clinical Review, Vol.329, No.16, pp.895-899, 2004.
  11.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34-64, 2011.
  12. D. De Leo, M. D. Buono, and J. Dwyer, "Suicide among the elderly : the long-termimpact of a telephone support and assessment intervention in northern Ital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1, pp.226-229, 2002. https://doi.org/10.1192/bjp.181.3.226
  13. 김현정, 황의갑,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애그뉴의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제5권, 제1호, pp.75-110, 2011.
  14. 배진희, "노인 자살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완충효과에 관한 연구", 제21권, 제1호, 사회연구, pp.39-67, 2011.
  15. 최신애, 하규수,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65-27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65
  16. 주경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9권, pp.231-264, 2011.
  17.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 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18. 임지영, 노인의 지역사회참여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최인, 김영숙, 서경현, "노인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25권, pp.33-56, 2009.
  20. 조근종,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 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198-207, 2000.
  21. 허준수, "노인일자리 사업과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참여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14권, pp.89-128, 2011.
  22. 양남영, 문선영, "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11호, pp.515-524, 2012.
  23. 하춘광, 김효순, "노인일자리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93-414, 2009.
  24. Y. Conwell, "Suicide in Later Life :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Suicide and Threatening Behavior, Vol.31, pp.32-47, 2001.
  25. http://preview.britannica.co.kr/
  26. 최형임,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7. 신상진, 조영태, "사회자본과 자살충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5-49, 2007.
  28. 조추용, "노인의 여가활용과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2권, pp.7-34, 2003.
  29. 박정호, 노년기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비공식적 지지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0. M. M. Fässberg, K. A. van Orden, P. Duberstein, A. Erlangsen, S. Lapierre, E. Bodner, S. S. Canetto, D. De Leo, K. Szanto, and M. Waern,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Factors and Suicidal Behavior in Older Adult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9, pp.722-745, 2012. https://doi.org/10.3390/ijerph9030722
  31. P. J. Raue, B. S. Meyers, J. L. Rowe, M. Heo, and M. L. Bruce,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homecar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2, pp.32-37, 2007. https://doi.org/10.1002/gps.1649
  32. A. Bandura, C. Pastorelli, C. Barbaranelli, and G. V. Caprara, "Self-Efficacy Pathways to Childhoo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6, No.2, pp.258-269, 1999. https://doi.org/10.1037/0022-3514.76.2.258
  33. T. F. Locke and M. D. Newcomb, "Psychosocial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Suicidality in Teenage Latino Male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Vol.27, No.3, pp.319-336, 2005. https://doi.org/10.1177/0739986305276745
  34. D. Malfent, T. Wondrak, N. D. Kapusta, and G. Sonneck, "Suicidal ideation and its correlates among elderly in residential care h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5, pp.843-849, 2010.

Cited by

  1.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 and Health Status on Several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The Fully Mediating Effect of Depressive Symptom vol.17, pp.3, 2017, https://doi.org/10.15384/kjhp.2017.17.3.193
  2.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Rural Elderly’s Self Efficac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vol.28, pp.4, 2017, https://doi.org/10.7856/kjcls.2017.28.4.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