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n Records about Magnetism in Written Korean History (Records Regarding the Applications of Magnet for Oriental Medicine)

한국사 속의 자기(磁氣) 관련 기록에 대한 조사 연구 (자석의 한방 응용 기록을 중심으로)

  • Rhee, Kun Woo (Department of Histo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won, Hae-Woong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3.07.09
  • Accepted : 2013.08.1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Until the discovery of universal gravitation, a magnet had been considered to be a unique and magical stuff which exhibited an interacting force between two objects separated afar. Perhaps because of this belief, magnets were used widely as a medicinal stuff in East-Asia. In the present article, the records regarding the applications of a magnet for oriental medicine in written Korean history were surveyed. The records were categorized in terms of efficacy, prescription, and clinical case of taking-medicine. The records revealed that a magnet was used a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e medicine for curing kidney filtering failure. Magnet was also prescribed to heal heart problems. Typical magnet-containing medicines included the SHINRYUKTANG, JIHWANGTANG, and INSAMBAEKHOTANG. Interestingly, it was revealed that some of the kings (Hyojong, Yungjo) in the era of Josun dynasty (1392-1910) believed the efficacy of the magnet-containing medicine and took it for curing their health problems.

만유인력 등이 발견되기 전에, 자석은 서로 떨어진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유일한(특이한) 힘을 보여주는 마법적인 물질로 생각하였다. 그런 특성 때문인지, 동아시아에서는 자석이 약재로서도 널리 쓰였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 속의 자기에 관련된 기록 중 자석의 한방 응용에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였다. 자석이 약재로서 어떤 효능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였는지에 대한 기록을 정리하고, 자석을 약재로 하는 처방에 대한 기록, 그리고 실제로 우리 역사 속에서 자석이 들어간 약제를 복용한 사례에 대한 기록을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근우, 권해웅, 한국자기학회지 22, 142 (2012).
  2. 李時珍, 本草綱目, 권3상, "磁石, 周痺風濕肢節中痛."
  3. 李時珍, 本草綱目, 권4하, "磁石散, 養腎止驚."
  4. 李時珍, 本草綱目, 권4중, "慈石, 金瘡腸出納入."
  5. 李時珍, 本草綱目, 권4하, "磁石, 子宮不收名疾, (하략)."
  6. 許浚, 東醫寶鑑 內景篇권3 單方, "磁石, 養益腎氣腎虛耳聾 目昏皆用之."
  7. 許浚, 東醫寶鑑 湯液篇권3 石部, "磁石養腎臟强骨氣益精, 除煩療耳聾, 通關節, 消腫鼠瘻頸核喉痛.", "磁石毛, 養腎益氣 補塡精髓腎虛耳聾目昏, 功用更勝."
  8. 朱橚, 普濟方 (四庫全書), 권180, 腎瀝湯.
  9. 聖濟總錄纂要 (四庫全書) 권13, 白虎湯.
  10. 仁齋直指 (四庫全書) 脫肛證治.
  11. 世醫得效方 (四庫全書) 磁石散.
  12. 普濟方 (四庫全書) 권29, 補腎磁石丸.
  13. 玉機微義 (四庫全書) 권35, 沈香磁石丸.
  14. 普濟方 (四庫全書) 권29, 冷補丸.
  15. 허준, 동의보감 外形篇권2, 補骨脂散.
  16. 備急千金要方 (四庫全書) 권59, 瀉腎湯.
  17. 허준, 동의보감 內景篇권4 小便寫腎湯.
  18. 三因極一病證方論 (四庫全書) 권8, 淸源湯.
  19. 本草綱目 (四庫全書) 권3하, 補虛補骨脂.
  20. 承政院日記 영조 37년 12월 14일, sjw.history.go.kr에의함(이하같음).
  21. 김범, 왕의건강관리, 승정원일기를읽는다, 경향신문 2006년 10월 10일자.
  22. 傷寒論注釋 (四庫全書) 瓜帶散方.
  23. 承政院日記 효종 9년 3월 7일.
  24. 承政院日記 효종 9년 3월 9일.
  25. 承政院日記 효종 9년 3월 12일.
  26. 承政院日記 영조 42년 4월 28일. "上曰, 地黃湯可謂小腎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