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obile Service Application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ood that uses the Information marked on the processed Food Labels

가공식품라벨 표시정보를 활용한 식품 품질 평가 모바일 서비스 앱 개발

  • Received : 2013.07.08
  • Accepted : 2013.08.01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developing a mobile-based service system through which consumers can collect labeled information on processed foods. This research collected and analyzed the labeled information of processed foods sold on the market and found that they contain abstruse standards for the information of raw nutrients and additives and are not proper for our database. Thus, to offer proper consumer-oriented information, we reclassified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categories such as raw materials, additives, and nutr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standard of the current Food Sanitation Act, and added it to the database. Using this reprocessed information, this study developed an algorithm and applied it to a mobile-based service system, which allows consumers to use information on the labels of processed foods scientifically and clearly.

본 연구는 시판 중인 가공식품 라벨 표시정보를 수집하여 표시사항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개인의 용도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모바일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시판중인 가공식품 라벨의 표시사항을 분석한 결과 원재료 영양정보 첨가물정보 함량 기준 등이 매우 난해하게 혼재되어 소비자가 라벨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소비자 지향적인 식품표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행 식품위생법의 식품표시기준에 따른 원재료, 첨가물, 영양성분 등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재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렇게 재가공한 정보를 토대로 소비자들이 가공식품 라벨표시 정보를 보다 과학적이고 명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모바일기반 서비스 시스템에 활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영란, 김향숙, "식품라벨 표시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제3권, 제1호, pp.59-69, 1994.
  2. 김향숙, 백수진, 이경애,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이용실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 28권, 제4호, pp.948-953, 1999.
  3. 최미희, 윤수진, 안영순, 서갑종, 박기환, 김건희, "서울지역 소비자들의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9권, 제10호, pp. 1555-1564,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1555
  4. 하귀현, 문영자, "일부 대학생의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에 대한 인지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291-300,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291
  5. "범정부 차원 '불량식품 근절 추진단' 4월 출범 형량하한제 범위 확대․통합식품안전정보망 구축", 식품저널, 제189권, pp.48-60, 2013.
  6. http://www.mfds.go.kr/index.jsp
  7. https://explore.data.gov
  8. K. P. Bouckaert, N. Slimani, G. Nicolas, J. Vigna t, A. J. A. Wright, M. Roe, C. M. Witthoft, and P. M. Finglas, "Critical evaluation of folate data in European and international databases: Recom mendations for standardization in international n utritional studies," 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 Vol.55, No.1, pp.166-180, 2011. https://doi.org/10.1002/mnfr.201000391
  9. G. B. Loker, B. Amoutzopoulos, S. O. Ozkoc, H. Ozer, G. Satir, and A. Bakan, "A pilot study on food composition of five Turkish traditional foods," British Food Journal, Vol.115, No.3, pp.394-408, 2013. https://doi.org/10.1108/00070701311314219
  10. W. Becker, "Towards a CEN Standard on food data,"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64, pp.S49-S52, 2010. https://doi.org/10.1038/ejcn.2010.210
  11. 김소영, 강민승, 김세나, 김정봉, 조영숙, 박홍주, 김재현, "국가식품성분표 발간 및 식품종합정보망 구축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제44권, 제1호, pp.2-20, 2011.
  12. 신미해, 오상헌, 황대용, 서수석, 김영철, "SNS 특성이 농식품 콘텐츠의 소비자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2012.
  13.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등의 표시기준", 식품의 약품안전처고시(제2013-6호), 2013.
  14.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제2012-34호), 2012.
  15.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개정판), 한아름기획출판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