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Volume 16 Issue 4
- /
- Pages.771-796
- /
- 2013
- /
- 1229-0890(pISSN)
- /
- 2713-4350(eISSN)
An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Phenomenon of Private Education using the Game Theory
게임 이론을 이용한 사교육 현상에 대한 이론적 접근
- Roh, Eun Hwa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ang, Jeong Gi (Namsan Middle School) ;
- Roh, Moon Ghi (Changwon Science High School)
- Received : 2013.07.27
- Accepted : 2013.12.26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private education and to get the countermeasures of it. To do this, we approached the phenomenon of private education from the game theory, which is famous in economics. As result, we could make the mathematical model. One is a model consisted of two-person. This is a mathematical model simplifying the competition within the school.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can be solved by the disconnection with private education and exam of school in this model. The other is a model consisted of three-person. This is a mathematical model simplifying the interscholastic competition.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can not only be solved by the disconnection with private education and exam of school, but can be also solved by the specificity of school education in this model. We will hope that our study can give an aid in deciding an educational policy.
공교육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사교육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국가차원의 문제로 대두된지 오래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사교육 과열현상에 대한 실태 파악과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는 등에 치우쳐 근본적인 대안의 마련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이 공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사교육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수학적 모델을 만들어 게임 이론으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하나는 2인으로 구성된 모델로서,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쟁을 단순화한 것이다. 이 모델에서는 교사의 역량 강화보다는 학교 시험과 사교육과의 연결고리 차단이 사교육 근절의 핵심으로 파악되었다. 다른 하나는 외부 경쟁자를 상징하는 제 3의 학생이 개입된 3인으로 구성된 모델로서, 학교 간에 이루어지는 경쟁을 단순화한 것이다. 이 모델에서는 학교 시험과 사교육과의 비 연결은 물론이고, 교사의 역량 강화가 사교육 근절의 핵심으로 파악되었다. 2인 모델에 기반한 접근은 학교 간에 불거지는 공정성 문제를 제어할 수 없는 만큼, 3인 모델에 기반한 접근이 요구되며, 이에 따르면 사교육 현상의 해법을 위한 정책은 교사의 역량 강화와 학교 시험과 사교육과의 비 연결을 위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국가에서는 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사교육 현상에 대한 교육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되며, 수학의 영향력이 사회 현상의 해석까지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