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영어 교수·학습활동에 대응한 학습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ing of the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English Learning Activities

  • 투고 : 2013.06.21
  • 심사 : 2013.07.11
  • 발행 : 2013.07.31

초록

본 연구는 각 학교급별 영어교육 내용 및 방법에 적합한 영어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영어 전용교실의 공간구성 및 운영방안에 대한 건축 계획적 방안 모색과 그 지침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국 초등학교의 영어교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표를 작성하여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영어교육과 관련한 실 종류와 보유 현황, 그리고 각 실들의 면적 등의 시설 현황에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학교급별 영어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방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영어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학교급별 대표적인 학습장면과 그에 따른 시설 및 설비 환경을 추출하였다. 셋째, 이를 통하여 학교급별, 규모별 영어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영어 전용교실의 공간구성 요건 및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건축 계획적 지침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의 영어교육 내용 및 방법에 적합한 영어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영어 전용 교실의 공간구성 및 운영 방안에 대한 건축 계획적 방안 모색과 그 지침을 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solution and guid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spatial layout and operation program to establish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roper to English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ology by the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facility condition such as type of classroom, retainment and floor space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the nationwide survey for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study analyzes English educational procedures, contents and methodology and most typical educational scenes,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Finally, the study pursues the spatial layout factors and propo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to provid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er its size and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Byungkwan Choi, A Study on the Operating and Building Plan of Study Space for Making Circumstance of English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08.10.25
  2. Byungkwan Choi, A Study on the facility criterion for the revised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09.3.30
  3. Youngsuk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Model of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Type ,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9. 7
  4. Byungkwan Choi, The Operation Guide of the Advanced type(type A)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9.11
  5. Byungkwan Choi, A Consulting Report of the Facility sector of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type B-2 and C). - Seoul․Incheon,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upport Center, 20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