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llusion of Digital Image

디지털영상의 환상성에 관한 연구

  • 최원호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 김치용 (동의대학교 영상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3.01.28
  • Accepted : 2013.02.28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e desire of humankind that longed for reappearance of visual makes progress within the development of linear history. The directing point at the moment was the 'eye'. Upon completion of setting the aiming point, visual image attempts reflection of main agent beyond reappearance of it and, by extension, aimed to visualize desire which was latent in the instance of main agent. It was able to experience a fantasy in paintings, photos and movies as a stage of desire, of course. Digital, however, suggested a new phasis in creating a fantasy world.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fantastic nature in digital image that a fantastic image is created as a reflection of both independence and unconsciousness.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revealed that digital image, as a channel that image and imaginative desire which were saved in id, is created as a perfect stage on the basis of verisimilitude, granting an experience toward realization of desire to a main agent raising id which was repressed by the ego and superego to the surface.

시각 재현을 욕망했던 인류 염원은 선형적 역사의 발전 속에서 진보한다. 이때 지향점은 '눈'이었다. 목표지점이 설정된 후, 시각 이미지는 재현을 넘어 주체의 반영을 시도하고, 나아가 주체의 심급 속에 잠재되어 있던 욕망을 시각화하고자 했다. 물론 회화, 사진, 영화에서도 욕망의 무대로서 환상은 경험할 수 있었으나, 디지털은 환상 세계의 창조에 새로운 국면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체성과 무의식이 반영되어 환상이미지가 창조되는 디지털영상에서의 환상성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이미지는 이드 속에 저장되었던 이미지와 상상적 욕망이 시각화되는 통로로서 핍진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완벽한 환상의 무대로 창조함을 알 수 있었고, 자아와 초자아에 의해 억제되었던 이드를 부상시키면서 욕망실현에 대한 경험을 주체에게 부여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원호, "대상 a를 향한 욕망의 상징적 실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3권, 11호, pp. 1706-1714, 2010.
  2. 주영숙, 김치용, "애니메이션의 이중적 기호작용 원리",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9권, 9호, pp. 1196-1207, 2006.
  3. 마리타 스터르큰, 리사 카트라이트,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2006.
  4. 박찬부, 기호, 주체, 욕망, 창비, 파주, 2007.
  5. 베르너 융, 미메시스에서 시뮬라시옹까지, 경성대학교출판부, 부산, 2006.
  6. 서정남, 영상예술의 이해, 계명대학교출판부, 대구, 2008.
  7. 심혜련, 매체철학의 이해, 인간사랑, 고양, 2005.
  8. 에른스트곰브리치, 예술과환영, 열화당, 파주, 2008.
  9.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시옹, 민음사, 서울, 2008.
  10. 존 버거,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서울, 2000.
  11. 존 버거, 영상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나남, 서울1991.
  12. 캘빈 S. 홀, 프로이드 심리학, 문예출판사, 서울, 2000.
  13. Lacan, Ecrits, W W Norton & Co Inc, New York, 2007.
  14. 김아미, 라캉의 주체 형성 과정을 통해서 본 시각의 타자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5. 서주영, 자끄 라깡의 응시개념으로 본 왜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Cited by

  1. A Study on The Desire of Subject and Digital Image vol.16, pp.12, 2013, https://doi.org/10.9717/kmms.2013.16.12.1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