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resentation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서부 영화에서 황야의 재현에 대한 미학적 해석

  • Lee, Myeong-Jun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명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3.11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make an aesthetic inquiry into representing modes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The western film was the first genre in earnest about natural landscape, covering vast areas of America from the East to the West. It adopted representative modes sui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es which produced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western films, wilderness was represented at a distance from the camera lens as a setting and an object of contemplation. In eastern forest landscapes, western films adopted the visual model of Hudson River School's landscape painting which expressed the transcendental sublime. The western semiarid region reproduced the warrior's gaze shot from a high angle, and, in this visual mode, wilderness was expressed as a demonic landscape derived from Burke's definition of the sublime. On one hand, the western desert was represented as a place of hardship shot at a low angle which expressed the vastness, unevenness and limitlessness of the desert owing to the absence of horizon. On the other hand, the mesas of Monument Valley have sublime characteristics of size and time. In western films, they play the role of an emblem by rising from the limitless desert on the horizon. The prospect-refuge relationship, the desire to see without being seen, is discovered in the representative mode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hopes to discover the archetype of landscape representation.

이 연구는 서부 영화에서 황야를 재현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학적 특성을 해석한다.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영화 장르로서, 시각 재현 매체가 자연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의 원형을 보여준다. 서부 영화는 먼저 동부의 황야를 배경으로 제작되다가 이후에 서부의 황야를 포착하였고, 경관의 물리적 특징에 적합한 재현 방식을 통해 독특한 미적 특질을 조직하였다. 서부 영화에서 황야는 카메라에서 먼 거리에 위치하여 시각적 관조의 대상으로 재현되었다. 동부의 숲 경관의 재현은 허드슨 강 화파의 회화 양식의 영향을 받았고, 초월적 숭고의 미학을 구현하였다. 서부의 반건조지대의 재현에서는 높은 지대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하향적 시선이 등장하였고, 이때의 황야는 버크가 정의한 숭고의 특질을 보여준다. 서부의 사막은 한편으로 지면 높이에서 포착되어 지평선이 부재하고 무한함이 강조됨으로써 불모지로서의 황야를 표상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모뉴먼트 밸리는 장엄한 규모와 오랜 시간성의 측면에서 숭고함의 범주에 포섭되고, 광활한 사막에 지평선과 함께 시각적 상징물로서 재현되었다. 서부 영화의 황야 재현 방식에서는 안전한 거리를 두고 경관을 관찰하려는 인간의 생물학적 욕구인 조망과 은신의 관계가 발견되고, 이러한 점에서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의 구성 방식에 관한 원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약성경 욥기.
  2. 김영진(2003) 아메리칸 레전더리(1) 존 포드. (http://koreanrock.com/wiki.pl?action=edit&id=%C1%B8%C6%F7%B5%E5/%B1%E8%BF%B5%C1%F8)
  3. 배정한(2006)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4(1): 64-65.
  4. 배정한, 조정송(1995) Appleton과 Bourassa의 '경관미학' 이론에대한비 판적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23(1): 7-22.
  5. 배정한, 조정송(1999) 조경 설계와 회화적 자연관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27(3): 80-87.
  6. 신문수(2010) 자연의 나라: 국가 건설과 자연의 재발견. 신문수(편),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 45-79.
  7. 이명준, 배정한(2012)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0(4): 78-89. https://doi.org/10.9715/KILA.2012.40.4.078
  8. 주은우(2005) 미국무성영화와 국가정체성의 형성: 미국 영상대중문화와 정체성 정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제와 사회 65: 121-154.
  9. 황기원(2011) 경관의 해석: 그 아름다움의 앎.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0. Appleton, J.(1996) The Experience of Landscape(rev. ed.).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1. Bazin, A.(1975) Qu'est Ce Que Le Cinema. 박상규(역),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2판. 시각과 언어, 2001.
  12. Boime, A.(1991) The Magisterial Gaze: Manifest Destiny and American Landscape Painting c. 1830-1865. Washington and Londo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3. Burke, E.(1757)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김동훈(역),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 도서출판 마티, 2009.
  14. Cameron, I. and D. Pye, eds.(1996) The Book of Westerns. New York: Continuum.
  15. Carmichael, D. A. ed.(2006) The Landscape of Hollywood Westerns: Ecocriticism in an American Film Genre. Salt Lake City: The University of Utah Press.
  16. Cohen P. M.(2001) Silent Film and the Triumph of the American My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 Cooper, J. F.(1826) The Last of the Mohicans. 이나경(역), 모히칸 족의 최후. 열린책들, 2012.
  18. Corner, J.(1999) Introduction.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19.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 Elsaesser, T. and M. Hagener(2007) Filmtheorie zur Einfuhrung. 윤종 욱(역), 영화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2.
  21. Helphand, K. I.(1986) Landscape films. Landscape Journal 5(1): 1-8. https://doi.org/10.3368/lj.5.1.1
  22. Hosey, L.(2010)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of John Ford. (http://www.architectmagazine.com/blogs/postdetails.aspx?BlogId=opecoblog&postId=93476)
  23.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4. Kant, I.(2009) Kritik der Urteilskraft. 백종현(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25. Lefebvre, M.(2006) Between setting and landscape in the cinema. In M. Lefebvre, ed., Landscape and Film. New York: Routledge. pp. 19-59.
  26. Leutrat J. L. and S. L. Guigues(1998) John Ford and Monument Valley. In E. Buscombe and R. Pearson, eds., Back in the Saddle Again: New Essays on the Western.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pp. 160-169.
  27. Mitchell, L. C.(1996) Westerns: Making the Man in Fiction and Film.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Mottet, J.(2006) Toward a genealogy of the American landscape: Notes on landscapes in D. W. Griffith(1908-1912). In M. Lefebvre, ed., Landscape and Film. New York: Routledge. pp. 61-90.
  29. Nash, R.(1982) Wilderness and the American Mind (3rd. ed.).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30. Novak, B.(1972) American landscape: Changing concepts of the sublime. American Art Journal 4(1): 36-42. https://doi.org/10.2307/1593919
  31. Novak, B.(1995) Nature and Culture: American Landscape and Painting, 1825-1875 (rev.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2. Pearson, R.(1996) Early cinema. In G. N. Smith, ed.,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이순호 외(역), 초창기 영화.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열린책들, 2005. pp. 36-48.
  33. Schopenhauer, A.(2011) 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권기철(역),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동서문화사, 2011.
  34. Short, J. R.(1991) Imagined Countr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London: Routledge.
  35. Simmon, S.(2003) The Invention of the Western Film: A Cultural History of the Genre's First Half-centur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Stam, R.(2000) Film Theory: An Introduction. 김병철(역), 영화이론. K-books, 2012.
  37. Tompkins, J.(1992) West of Everything: The Inner Life of Wester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8. Toulet, E.(1988) Cinematographe, Invention du Siecle. 김희균(역), 영화의 탄생. 시공사, 2006.
  39. Wright, W.(1979) Six Guns and Society: A Structural Study of the Wester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