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지도사의 직무영역과 개별역량의 관계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Areas and Individual Competencies of Extension Workers

  • Kim, Hyo Mi (Konkuk University, Division of Agricultural Economy Studies, General Graduate School) ;
  • Kim, Ji Hyun (Konkuk University, Division of Agricultural Economy Studies, General Graduate School) ;
  • Kim, Sa Gy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Yoon Doo (Konkuk University, Division of Agricultural Economy Studies, General Graduate School)
  • 투고 : 2013.03.17
  • 심사 : 2013.06.05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사의 직무별로 관련성 있는 역량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농촌지도사의 직무와 개별역량 간의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농촌지도사의 지도기획 직무는 '문제해결' 및 '아이디어 창출' 역량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개선 교육 직무는 '지도사업평가', '고객지향성' 및 '이해력' 역량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고, 작물기술보급 직무는 '현장지도' 및 '책임성' 역량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도사들의 역량강화를 통한 직무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직무별로 관련성이 높게 나타난 역량들에 대한 중점적인 교육이 실시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규지도사의 최초 직무 배치시 개별역량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한 직무에 배치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ying to drive the competence relevant to extension worker's functions. We also conducted a correspondence analysis between the individual competence and extension worker's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unctions of guidance planning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nd 'creation of ideas'. Education functions correlated with 'extension work evalua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And crop technology diffusion functions were analyzed relevant to the ability of 'training skill' and 'responsibility' is high. In this study, extension empowerment need to educate suitable education which is high relation between competency and extension worker's functions and develop new suitable education model. And the baseline data will be made use, when arrange reasonable function to new extension workers, through individual competency measu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두, 김사균, 김효미, & 채수호. (2013). 농업인의 개인역량과 조직성과간의 연관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1), 143-172.
  2. 김진모. (2001).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직업교육연구, 20(2), 109-128.
  3. 김진모. (2006). 농촌지도직공무원 역량진단 및 육성지원 방안. 수원: 농촌진흥청.
  4.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09' 1st edition 농업교육 백서. 안양: 농업인재개발원
  5. 농촌진흥청. (2012). 농촌지도사업보고서. 2011.
  6. 송기진. (2003). 농촌지도사의 지방직 이후 직무변화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심미옥. (2006). 한국 농촌지도인력 역량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이훈영. (2006). SPS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pp.287-304). 서울: 도서출판 청람.
  9. 이훈영. (2008).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pp.511-528). 서울: 도서출판 청람.
  10. 임정준. (2011). 초등교사의 직무역량 차이 인식 및 개인의 직무성과 분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조록환. (2006). 지식경영을 위한 농촌지도요원의 역할과 역량, 농촌지도와 개발, 13(2), 385-400.
  12. 조영철. (1992). 농촌지도요원의 직업적 전문능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진정연. (2011). 외식기업의 핵심역량 및 개인역량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채수호. (2013). 개별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연관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최용석. (2001). SAS 대응분석의 이해와 응용 (20-112). 파주: 자유아카데미
  16.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
  17.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https://doi.org/10.1037/h0034092
  18. Parry, S. B. (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Training, 33(7), 48-56.
  19. Sparrow. P., & Pickard, J. (1996). Competency based: Too good to true?, People Management. Emerald management Reviews. 2(24), 22-27.
  20.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