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자인. (2006). 신활력사업의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정책집행현장으로부터의 문제 제기. 농정연구, 18, 167-185.
- 김강섭, 이상정. (2006).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2), 3-10.
- 김건우. (2009). 1964년의 담론 지형. 대중서사연구, 22, 71-90.
- 김동규. (1964).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농촌개발문제. 연세경영연구 산업과 경영, 2(1), 241-245.
- 김영미. (2008). 마을의 근대화 경험과 새마을운동. 정신문화연구, 31(1), 271-299.
- 김영미. (2011). 그들의 새마을운동. 서울: 푸른역사.
- 강영은. (2012). 한국 농촌경관 변천 특성 연구: 1950년대 이후 농촌개발사업의 경관 영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은경. (2009). 1950년대 신생활운동 연구. 여성과 역사, 11, 203-240.
- 김은경. (2007). 1950년대 가족론과 여성.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김익동. (1995). 새마을금고 조직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과정. 사회과학과 정책 연구, 17(1), 33-63.
- 김일철. (1982). 지역사회연구의 동향과 그 과제. 한국사회학연구, 6, 1-12.
- 농정연구센터. (2002). 상향식 농촌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농림부 용역보고서.
- 농촌진흥청. (1978). 농촌지도사업 전개과정.
- 농촌진흥청. (2004). 농촌진흥 40년사.
- 농촌진흥청. (2006). 시군지방자치단체의 농촌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농촌개발정책.
- 대한지방행정협회. (1962). 각 도의 농촌건설 : 제주도편: 지역사회개발보조사업에 대하여. 내무행정, 11, 47-51.
- 박경. (2006). 농촌지역개발정책의 추진체계 개편방안. 농정연구, 18, 91-110.
- 박서호, 박창홍. (1993). 마을연구 방법론 정립에 관한 연구 : 마을의 개념정립 및 인식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5(2), 71-90.
- 박섭, 이행. (1997).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31(3), 47-67.
- 박정삼. (1963). 사회교육과 지역사회개발론. 서울 : 일지사.
- 박진도, 한도현. (1999).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박정희 정권의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역사비평, 여름, 41-43.
- 보건사회부. (1987). 부녀행정 40년사.
- 식량농업연구소. (1960). <좌담>지역사회개발사업 현지지도원들의 생활상. 식량과 농업, 4(4), 125-126.
- 윤길병. (1958). 신진제국의 사회개발추세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개발사업. 내무행정, 8, 220-230.
- 윤정란. (2010). 4월 혁명과 여성들의 참여 양상. 여성과 역사, 12, 69-110.
- 윤준상, 박은병. (2012). 효율적인 농산어촌지역개발사업을 위한 주민만족요인분석-부여군 포괄보조금제도하에 지역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4), 773-798.
- 이석주, 윤상헌. (2009). 포괄보조금 제도하의 지역특화발전을 위한 '테마클러스터 형 지역개발방식'에 대한 소고. 농촌계획, 15(4), 51-57.
- 이환병. (2011). 모범 농민․마을의 성장과 농촌 새마을운동.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해진. (2004).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농촌사회, 19(1), 7-47.
- 임석우. (1963). 전라북도 보고가는 마을 조성운동. 지방행정, 12, 165-173.
- 임종명. (2012). 해방공간과 신생활운동. 역사문제연구, 27. 219-265.
- 재건국민운동본부. (1963). 재건국민운동.
- 전라북도. (1962). 전북농촌발전사 : 보고가는 마을. 서울 : 보광사.
- 전재호. (2010). 5.16군사정부의 사회개혁정책 : 농어촌고리채정리사업과 재건국민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4(2), 37-61.
- 정갑진. (2009). 1970년대 한국 새마을운동의 정책경험과 활용. 한국개발연구원.
- 정기환. (2002). 우리나라 농촌개발정책의 방향. 농정연구, 2, 113-132.
- 정현주. (2004).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여성정책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조효원. (1960). 자치의식앙양의 구체적인 방안 : 지역사회개발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지방행정, 9, 82-86.
- 채우공. (2004). 재건국민운동의 사회교육활동의 재조명.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최병석. (1967). 지역사회개발을 논함. 농림과학 논문집, 147-160.
- 최재원. (1987). 지역사회개발의 사적 고찰 II. 지역사회개발논집, 9, 1-20.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2). 농어촌 정주생활권 개발의 장기방향.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9). 한국농정 50년사.
- 한봉석. (2006). 이승만정권 말기 지역사회개발사업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황병주. (2008).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허남혁. (2011). 한국 농촌개발 통치성의 계보 : 농촌진흥운동에서 1사1촌 운동까지.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5-198.
- 허은. (2003a). '5. 16'군정기 재건국민운동의 성격-'분단국가 국민운동'노선의 결합과 분화. 역사문제연구, 11. 11-51.
- 허은. (2003b). 국가의 농촌 통제 : 조세 징수에서 가족계획까지. 내일을 여는 역사, 23, 56-68.
- 허은. (2004). 1950년대 후반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미국의 한국 농촌사회 개편구상. 한국사학보, 17, 275-312.
- 홍문표 국회의원실. (2012. 10. 22). 2012년 산림청 산촌생태마을 운영실태 국정감사 보도자료.
- 경향신문. (1960. 9. 27). 국회, 신생활운동에 냉담.
- 경향신문. (1961. 3. 13). 신생활운동에 정부서도 적극 협조.
- 경향신문. (1962. 1. 30). 본지를 통한 공개건의에 최고회의 공개답변(3)
- 경향신문. (1962. 2. 22). 허실 4. 지도체계.
- 경향신문. (1962. 10. 30). 2만여명이 참가.
- 경향신문. (1963. 2. 12). 정치불감증과 지방민.
- 경향신문. (1963. 5. 8). 모범부락 겉치레만 번드르르.
- 경향신문. (1963. 5. 9). 모범부락육성책에 대한 재검토를 바란다.
- 동아일보. (1960. 9. 27). 학생들의 신생활운동과 성인사회의 반성.
- 동아일보. (1962. 8. 22). 이름부터, 보고가는 마을.
- 동아일보. (1963. 5. 18). 재건국민운동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
- 동아일보. (1963. 6. 22). 호남기행 모범부락 中
- 동아일보. (1963. 6. 24). 호남기행 모범부락 下
- 동아일보. (1963. 8. 27), 현실(10), 보고가는 마을.
- 동아일보. (1966. 6. 9). 정치적인 관청, 농협.
- 매일경제. (1970. 10. 20). 의견 보고가는 마을.
- 새전북신문. (2010. 6. 3). 전북의 기억<39> 5.16 군사쿠데타와 전북.
- 자유신문. (1945. 11. 18). 國泰民安의 新生活運動 協會結成코 實踐의 炬火.
- 한국농어민신문. (2010. 5. 21). 2010년 국무총리실 전국 체험마을 운영실태 조사.
- Kraybill, D & L. Lobao. (2001). County government survey : change and challenges for the new millennium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 Van der Ploeg & Jan Douwe. (2000). Revitalizing agriculture : Farming economically as starting ground for rural development. Sociologia Ruralis, 40(4), 497-511. https://doi.org/10.1111/1467-9523.00163
-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 코베이. (www.kobay.co.kr).
-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www.grandculture.net)
피인용 문헌
- 5 · 16 군정기 지방행정 환경변화와 모범부락조성사업에 대한 고찰 vol.20, pp.3, 2013, https://doi.org/10.12653/jecd.2013.20.3.0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