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Korean Twill Fabrics in the 17th Century

17세기 한국 능(綾)직물 연구

  • Cho, Hyo-Sook (Dept. of Clothing, Gachon University) ;
  • Lee, Eunjin (Dept. Clothing & Textil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11.30
  • Accepted : 2013.05.1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studies the fabrics from excavated 17th century tombs of Mrs. Min from Yeoheung family(1586~1656), Yeo-on Kim(1596~1665) and Won-rip Choi(1618~1690) and attempt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trend in fabrics of those times and the background behind it by viewing and examining the proportion of twill fabrics to the total silk fabr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weave and patterns. Looking into fabrics from the above tombs, twill fabrics accounted for 10.4%(13 pieces) 19.3%(16 pieces) and 9.2%(9 pieces) of total silk fabrics in each of the respective tombs. This forms a remarkable contrast with the fact that there was only one piece of twill silk fabrics(0.5%) and not any from the 16th century tombs of Mrs. Yoon from Papyeong family (0.5%) and Soo-ryoon Sim(0%).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hwamun-neung(patterned twill fabrics) in each of the tombs is 8.0%(10 pieces), 13.3%(11 pieces), 9.2%(9 pieces),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non-patterned one. This is common to the twill fabrics from above three 17th century tombs. Patterns of hwamun-neung(patterned twill), simplified small flower patterns or geometrical figures, from the three excavated tombs are mostly arranged sporadically with blank space. It is supposed that these figurativ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e aesthetic sense of the gentry at that time which valued simplicity and moderation for their Confucian standard. This phenomenon of increased use and production of twill fabrics in the 17th century resulted from different factors such as wars like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economic difficulty, government regulations against the production of high-class fabrics, development of weaving skill and its fixation, changes of fabric production environments, and changes of aesthetic sense preferring naive and moderate things to showy ones. As for the weaving characteristics of twill fabrics from the three 17th century tombs 3 leaf warp-faced twill was often used for the ground texture and 4 leaf warp-faced one was occasionally used. For pattern texture 6 leaf weft-faced twill was frequently used, 4 leaf weft-faced twill and 3 leaf weft-faced twill were used at times, and floating one was occasionally used as well.

Keywords

References

  1. 高漢玉(1986), 中國歷代織染繡圖錄, 上海: 科學技術出版社, p. 16.
  2. 陳維稷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 317.
  3. 조효숙 (1993), 韓國絹織物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9.
  4. 이은진 (2004),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5. 민길자 (2000),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서울: 한림원, p. 122.
  6. 陳維稷主編(1984), 中國紡織科學絲綢技術史, 北京: 科學出板社, p. 324.
  7.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1.
  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7, 178.
  9. 임현주, 조효숙 (2004),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 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服飾, 54(8), p. 118.
  1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79.
  11. 仁祖實錄, 권36, 16년 3월 丁丑.
  12. 孝宗實錄, 권7, 2년 8월 己酉, 庚戌
  13. 顯宗實錄, 권22 부록, 현종대왕 행장(2)
  14.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2.
  15.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3.
  16.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51.
  17. 장현주 (1999), 조선시대 견직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9-71.
  1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09.
  19. 김성환 (2003), 흥곡공 일가의 행력,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60.
  20.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88, 89, 90.
  21.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1.
  22.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2.
  23.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99.
  24. 조효숙 (2003), 동래정씨 흥곡공 일가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동래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00.
  25.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19.
  26.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1.
  27.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210.
  28.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0.
  29.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2.
  3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 211.
  31.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8.
  32.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1 직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478.
  33.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7.
  34.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3.
  35. 조효숙 (2006), 탐진최씨 원립(1618-1690)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최원립 장군 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 194.
  36. 조효숙 (2003), 파평윤씨 모자 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 132.
  37. 조효숙 (2004), 심수륜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용인 출토 청송심씨 정이공파 심수륜 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93.
  38. 조효숙 (2005), 연안김씨 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양평 출토 홍몽남 배위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 용인: 경기도박물관, p. 161.

Cited by

  1. A Study on Joseon's Luxurious Trends of Costumes and Import of Patterned Textiles in the 17th century vol.66, pp.3,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3.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