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과대학생 대상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태도, 지식 및 술기 영역에서

A Report on Educativ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Training for Students in a College of Korean Medicine: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 김미경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준석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
  • 박희옥 (수원여자대학교 간호보건학부 간호학과) ;
  • 한창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im, Mi-Ky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 Seo, Jun-Seok (Dept. of Emergency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
  • Lee, Seung-Chul (Dept. of Emergency Medicine,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
  • Park, Hee-Ok (Dep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
  • Han, Chang-H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13.06.30

초록

Objectives : Basic life support (BLS) is considered one of the essential clinical skills medical students should master. Nevertheless, neither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nor the educative effect of and attitudes toward BLS in Korean medical students have yet been repor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ve effect of BLS training for Korean medical students in terms of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Methods : Surveys concerning attitudes toward BLS and its education, and tests for knowledge and scheme performance were conducted with 85 students in a college of Korean medicine under training for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BLS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s. Results : Before training, 70.6% of students answered they felt the necessity to be trained in the BLS course. The levels of confidence to perform and self-presumed knowledge on BLS were low at first. After training, however, the level of confidence and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inal test, the mean scores of written test and scheme performanc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level of confidence didn't.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y wanted to be re-trained under regular re-education system. Conclusions :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BLS education and its educative effect in Korean medical schools, it's required to expand the target of research to larger number of colleges and students over the coun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일. 한의대 교과과정과 교육목표. 제3의학 2004;12:43-58.
  2. 권인호, 이신호, 박원녕, 김은기, 구홍두. 심폐소 생술 지침을 따르고 계십니까?. 대한응급의학회 지 2008;19(6):641-7.
  3. 사단법인 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한국 심폐소생 술 지침. 서울: 대한심폐소생협회; 2011, p. 3, 13.
  4. 황건, 이영미, 백상호. 의사시험에 임상수기수행 평가를 도입하기 위한 예비연구. 한국의학교육2001;13(2):277-87.
  5. 박훈기. 의사국가고시에서 실기시험. Korean J Med Educ 2008;20(4):309-12. https://doi.org/10.3946/kjme.2008.20.4.309
  6. 김지연, 안원식, 박종두, 박재현, 임영진, 등. 국 내 대학병원 심폐소생술 현황 - 교육, 물품, 보 고서 -. 대한마취과학회지 2004;47:553-8.
  7. 김지연, 김동욱, 안원식, 신터전, 박재현, 등. 심 폐소생술 전공의 교육 현황과 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 - 마취통증의학과를 중심으로 -. 대한 마취과학회지 2004;46:424-9.
  8. 류현욱. 의과대학 졸업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수 행능력과 관련요인. 학위논문(박사). 경북대학 교 대학원; 2008, p. 1-57.
  9. 보건복지가족부. 2008 한방의료기관 시범평가 결 과 분석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p. 227-8.
  10. 김미경, 서준석, 이승철, 이정훈, 도한호, 한창 호. 한방병원 근무 한방수련의의 기본심폐소생 술에 대한 태도와 교육 효과. 대한한방내과학 회지 2010;31(4):892-900.
  11. 대한심폐소생협회. CPR에 대해 [internet]. [2013.03.07.검색]. Available at: http://www.kacpr.org /cpr/index.html?code=1.
  12. Grzeskowiak M. The effects of teaching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A comparison between first and sixth year medical students. Resuscitation 2006;68:391-7.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05.07.017
  13. 김혜숙, 최은영.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에 대한 교육효과의 지속성. 한국간호교육학회 지 2012;18(1):102-10.
  14. 박정미, 서순림. 간호대학생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의 지속효과.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5; 9(2):169-81.
  15. 안재윤, 서강석, 박정배, 정제명, 류현욱, 강성 원, 등. 임상 전 의학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지식 및 술기 수행 능력의 6개월 전후 비교. 대한응급의학회지 2009; 20(5):496-504.
  16.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 호.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2006;17(1):8-13.
  17. 박요섭, 김영민, 이원재, 김한준, 김용범, 정원 중, 등. 임상실습과정 의과대학생의 기본심폐소 생술 수행능력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와 강의 식 재교육이 그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 회지 2006;17(1):45-50.
  18. 홍정석, 안력, 김선휴,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 은 간호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 한응급의학회지 2009;20(6):609-14.
  19. 백미례, 이인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 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한국응 급구조학회논문집 2001;5(5):63-71.
  20. 김수홍, 김상희, 심정신. 간호 대학생의 심폐소 생술 교육 효과 및 교육효과 지속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07;18(6):496-502.
  21. 권말숙.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 속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2):222-8.
  22. 오수일, 한상숙.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 지 2008;38(3):383-92.
  23. 이정은, 고봉연, 이인모, 최근명, 박신일, 안홍 기. 대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평가. 한국 응급구조학회논문지 2003;7(1):43-54.
  24. Wenzel V, Lehmkuhl P, Kubilis PS, Idris AH, Pichlmayr I. Poor correlation of mouth-tomouth ventilation skills after basic life support training and 6 months later. Resuscitation 1997; 35(2):129-34. https://doi.org/10.1016/S0300-9572(97)00044-0
  25. 오인호, 이상엽, 민홍기, 김영주, 임지향, 김형회, 등. 부산지역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응급 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 한국의학교육 2005;17(1):29-35.
  26. Min MK, Kim YI, Park MR, Lee SH, Yeom SR, Han SK. Retention of Basic Life Support Skills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ased 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대한응급의학회지 2011; 22(4):320-8.
  27.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_Acupuncture board. Application for examination [internet]. [2013.03.07.검색]. Available at: http://www. acupuncture.ca.gov/ pubs_forms/ completion_ ins.pdf.
  28. Healthcare Medicine Institute. New NCCAOM Acupunctur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internet]. [2013.03.07.검색]. Available at: http:// www.healthcmi.com/acupuncturist-news-online/ 312-nccaomacupuncture continuingeducationc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