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Tangpyeongchae by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중국인 및 미국인 유학생의 탕평채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 Lee, Kyong A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Bo Ra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
  • Choe, Eun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ha University) ;
  • Kim, Jung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je University)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보람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정인 (인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3.03.11
  • Accepted : 2013.05.02
  • Published : 2013.06.29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oreign students to Tangpyeongchae, in order to suggest strategy for developing Tangpyeongchae acceptable for them. Questionnaires translating in Chinese and English were given to 75 Chinese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A total of 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version 12.0). The students were asked about impression, recognition, preference and factors for improving acceptability of Tangpyeongchae. The respondents consisted 51(72.9%) Chinese and 19(27.1%) America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y 11 to May 18,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mpression after eating Tangpyeongchae got better scores than first impression by Chinese students,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ericans' impression. The main reason for good impression after eating it was 'good taste'. The Chinese and Americans' mean overall acceptance scores of Tangpyeongchae were 4.06 and 3.86 on 5-point scale,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y had high acceptance for Tangpyeongchae. Most of the Chinese students chose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popularity for Tangpyeongchae. It proposed that the control of taste may be a main factor, and then need to develop the sauce and seasonings which is suitable for Chinese taste for developing Chinese favorite Tangpyeongchae. Most of American students answered the texture should be improved for Americans' preference.

충남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과 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탕평채에 대한 인상, 기호도, 개선점을 조사하여 중국인과 미국인의 기호에 맞는 탕평채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국인 유학생은 탕평채에 대한 첫 인상에 비해 시식 후의 인상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미국인 유학생의 탕평채에 대한 첫 인상과 시식 후의 인상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탕평채를 시식한 후의 인상이 좋았던 이유로 중국인 유학생은 '맛이 좋아서' 35.3%, '식재료가 좋아서' 13.7%이었으며 미국인 유학생은 '맛이 좋아서' 31.6%, '향이 좋아서' 15.9%이었다. 따라서 중국인 유학생과 미국인 유학생이 탕평채를 시식 한 후 좋았던 주 된 이유는 '맛이 좋아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탕평채의 관능적 특성(색깔, 외관, 맛, 향, 텍스처)에 대한 기호도 및 전반적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색깔에 대한 기호도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3년-4년 미만 거주한 학생이 1년 미만 거주한 학생에 비해, 중국인 유학생이 미국인 유학생에 비해 더 높았다(p<0.05). 중국인 유학생은 미국인 유학생에 비해 외관, 향, 텍스처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중국인 유학생이 미국인 유학생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모두 '좋다' 정도의 비교적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탕평채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중국인 유학생은 '맛'이 54.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식재료'(19.5%)이었다. 심층면접에서 '짠맛과 매운맛의 조절', '고기 사용량의 조절', '붉은색 식재료의 사용' 등의 개선방안이 제안되어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향신료를 사용하여 매콤한맛과 짭짤한맛을 강하게 조절하고 고기의 사용량 증가, 붉은색 재료의 사용 등을 통해 중국인들의 기호에 맞는 탕평채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미국인 유학생은 '텍스처'라고 답한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심층면접에 의해 탕평채의 기호도 향상방안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채소의 사용', '묵의 부드러운 정도 조절', '제공온도 조절' 등의 의견이 제시되어 웰빙 건강식을 추구하는 미국인(특히 채식주의자) 들을 위해 고기를 넣지 않고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채소를 사용한 탕평채 개발, 묵의 텍스처 보완, 제공온도의 조절 등을 통해 미국 현지인의 입맛을 사로잡기에 충분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년대 초에 시작된 에스닉푸드(ethnic food)와 건강식에 대한 인기는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탕평채만의 독특한 한국적인 맛과 멋을 살리면서 중국이나 미국 현지에서 즐기는 향신료와 식재료를 접목시켜 중국인이나 미국인의 기호에 맞는 탕평채를 개발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대표 한식으로 발전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일, 설원식. 2008. 한국전통음식의 중국시장 진출 전략과 방안. 식품유통연구, 25(2):125-152
  2. 무명씨. 1870년경. 명물기략. p 319
  3. 소주영, 박미애. 2007. 베이징 뒷골목 이야기. 넥서스, 서울, p. 111.
  4. 윤숙자, 2008, 아름다운 우리음식 300선, 질시루, 서울, p. 225
  5. 이석호. 1982. 한국명서대전집-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동경잡기, 경도잡지. 대양서적. 서울. pp 62-65, 175
  6. 의궤감인청. 1848. 진찬의궤. 서울(한성부), pp 46-111
  7. 의궤청. 1873. 진작의궤, 서울(한성부), pp 7-64
  8. 의궤청. 1887. 진찬의궤. 서울(한성부), pp 63-125
  9.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2010. - 한식, 세계인의 입맛을 공략하다- 일본, 중국, 미국의 현지 식문화 및 한식당 인식 조사. 한국관광학회 제68차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571-599
  10. 허준(저)/동의문헌연구실(옮김), 2007, 신대역 동의보감, 법인문화사, 서울, pp 1846
  11. 홍상필. 2007. 한식의 LA 지역 미국인 평가 및 학회 참가. 식품기술, 20(3):179-188
  12. 홍선표. 1940. 조선요리학. 조광사. 서울. pp 193-193
  13. Choi J,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Korean J Food Culture 25(2):126-133
  14. Chun HK. Kim YS, Kim HR. 2009. R&D plan for agrifood and Korean food globalization in RDA. Food Industry Nutr 14(1):12-29
  15. Hong JE, Park YJ, Shin JH. 2009. A study of the gobalization,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 for the 21C. Food Service Industry J 5(1):109-125
  16.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17. Hong SP, Kim YH, Yang JN, Chae IS, Shin DB. 2008. Sensory evaluation of dining staffs at UCLA for Korean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3(6):705-712
  18. Joo NM, Kennon LR,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9(6):15-23
  19. Kim EM. 2010. Eating-out and Korean food for health. Bull Food Technol 23(2):154-158
  20. Kim HS, Ryu ES.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89-96 https://doi.org/10.9724/kfcs.2012.28.2.089
  21. Kwon OR. 2011. Functionality of Korean foods : Science and practice. Food Sci Industry 16(2):11-14
  22.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3. Lee KA, Kim BR, Kim HS, Shin M, Choi. 2012.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3):327-335 https://doi.org/10.9724/kfcs.2012.28.3.327
  24. Lee MA. 2008. Global strategy of Korean foods. Food Sci Industry 41(4):2-15
  25. Min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Korean J Culinary Res 16(5):92-102
  26. Park MR, Kim YA, Yoon KS, Liu F, Byun KI. 2009. A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in Shenyang region of China -Focused on Bibimbap-. Korean J Culinary Res 15(1):169-180
  27. Song JS, Moon SJ. 2011. Survey of Chinese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in Daegu and Gyeongbuk. Korean Soc Food Culture 26(2):113-119

Cited by

  1. A Study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s and Americans in Virginia, USA and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vol.27, pp.4, 2014, https://doi.org/10.9799/ksfan.2014.27.4.716
  2.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Tangpyeongcha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vol.31, pp.4, 2015, https://doi.org/10.9724/kfcs.2015.31.4.448
  3. 한국거주 외국인유학생들의 K-Wave, K-Drama, K-Pop 및 K-Friend에 대한 선호도가 한식의 선호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vol.33, pp.6, 2013, https://doi.org/10.7318/kjfc/2018.33.6.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