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Complex Type and the Facility Status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시설현황 및 복합유형 분석

  • 김수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 김석영 (서일대학교 실내디자인과)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6.17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Welfare desire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conomic level and rapid social change. The desire for comprehensive service on culture, medical, mental and information level has appear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 space of accepting administration, welfare, leisure, culture and informatization request in a small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is a meeting place of local resident for information change, various basic service and ultimately for activation of commun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regeneration and activation of existing urban core. Thus, this study figured out general status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nd physical mixed type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Current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has insufficient program and space to participate in by local residents and to accommodate mixed function. The future plann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must secure multiple opportunities for various types of life by returning time and cost to use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reative mixed concept. While reflecting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diversity of users, it needs to make mixed facilit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by survey and analysis onl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planning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to cope with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or realistic requirements.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급속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복지욕구가 다양화되면서 문화, 의료, 정신과 정보 차원으로 확대된 국민들의 종합적인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는 작은 단위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의 행정, 복지, 여가, 문화, 정보화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인 통합적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구축이 필요하다. 공동체 복합지원시설은 지역주민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만남의 장으로서 정보 교환을 비롯한 다양한 기초적인 서비스를 제공, 궁극적으로 주민들의 공동체 생활의 활성화에 기여하여 기존 도심의 재생과 활성화를 이루는데 이바지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일반적 현황과 물리적 복합 형태를 파악하고 복합유형을 도출, 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공급되고 있는 시설들은 이용자들 모두가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복합기능을 수용 수 있는 시설이 대체적으로 부족하다. 앞으로 계획되어질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은 프로그램과 복합기능을 모두 수용 할 수 있는 시설을 우선하여 공공행정시설이나 장애자 시설, 노인시설을 같이 배치하여 혐오시설로 느껴지지 않도록 배려하여, 서로 교류하는 공동체 삶을 추구하도록 시설의 설계단계부터 방법 또한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창의적인 복합개념이 도입되어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이용자들에게 돌려줌으로써 여러 가지 기회를 부가적으로 제공받음과 동시에 다양한 삶이 확보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이 되고, 이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변화에 순응과 변화를 동시에 기능할 수 있는 복합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계로는 조사 분석만으로 도출된 결과로 보편성에서 다소 미흡하다 할 수 있지만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이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이나 현실적인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공동체복합지원시설 복합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광재, 백혜선, 서수정, 아파트 공동체 실현을 위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p.4, 2001.
  2. 김수미, 김문덕, 서수미, "일본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p.12, 2009.
  3. 김수미, 김문덕, 서수미, "일본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p.13, 2009.
  4. 김문덕, 강동진, 신화경, 서귀숙, 공동체 복합지원 시설의 설계 및 운영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 미발표 출판물, p.123, 2008.
  5. 류호섭, "교육시설의 발달 동향과 과제, 교육시설학회", Vol.6, No.2, 1999.
  6. 심영섭, "서울시 지역사회학교의 교육망 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4, No.11, 1998.
  7. 신건축(新建築), 2007(10).
  8. 유성현, 공공시설의 복합화 실태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연구, 단국대 석론, p.20, 2006.
  9. 김수미, 김문덕, 서수미, "일본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p.18, 2009.
  10. 신병흔, 커뮤니티시설의 복합화를 위한 도시설계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론, 2007.
  11. 이원훈, 미래가치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시설 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경원대 석론, 2007.
  12. 조성태, 김성엽, 장주은, 강동진, "도시재생을 위한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성능기준 도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
  13. 김수현, 소규모 복합문화시설의 분석 및 계획적 의의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론, p.12, 2003.
  14. www.seekle.or.kr
  15. gjart.gwangjin.or.kr
  16. http://hdmc.hcf.or.kr
  17. http://unicenter.hcf.or.kr/
  18. http://www.pgyouth.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