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about Improvement Plan of Special Recruitment of Police Officers -Focusing on Special Recruitment of Those who Graduated Pol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경찰공무원 특별채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행정학과 특별채용제도를 중심으로-

  • 박한호 (극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Received : 2013.04.01
  • Accepted : 2013.04.24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Execution method of the police is mostly made of human resources (police officers). In such aspect, the recruitment of proper person should be dealt with the much significance. Related to this, recruiting all police officers by open employment is not actually possible. As the society today gets complicated, using of special recruitment gets more important and professionalism of policing also gets significant. Related to this, as in particular, modern police orients a same paradigm with community policing, special recruitment of those who graduated pol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can be a strategy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police in a time that the understanding to policing of human resources of police is needed. Therefore, this article searched the plan to improve post-recruitment system for actively using human resources graduated pol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These plans are: First, to remove the restriction of opportunity by adjusting examination date of open & special recruitments; Second, to suggest the extension of examination courses through additional organization of optional courses; Finally, to suggest the increase of recruiting numbers in special recruitment graduated pol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경찰의 집행수단이 대부분 경찰공무원이라는 인적자원수단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적격자의 채용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적격자의 선발에 있어 모든 경찰공무원을 공개채용에 의해 모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더욱이 오늘날 사회가 복잡다단해 짐에 따라 특별채용제도의 활용이 더욱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 경찰활동의 전문성 또한 매우 중요한 자질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현대경찰이 지역사회경찰활동과 같은 패러다임을 지향함에 따라 경찰인적자원의 경찰활동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시점에서 경찰행정학과 특별채용은 경찰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찰행정학과 출신 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입직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의 개선방안은 첫째, 순경공개채용과 특별채용의 시험 일자를 조정함으로써 기회의 제한을 해소하였다. 둘째로, 시험과목의 편성상 선택과목의 추가편성을 통하여 시험과목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찰행정학과 출신 특별채용 모집인원수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상암, 김명대, 박한호, "경찰공무원 치안서비스 제공의 일관된 행태 저해요인에 관한 논의-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7권, pp.347-350, 2012.
  2. http://gosi.police.go.kr/
  3. 임준태, "바람직한 경찰인사행정의 모색-전문성 향상과 개방형 모색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Vol.7 No.3, p.27, 2008.
  4. 이황우, 김진혁, 임창호, 경찰인사행정론, 서울: 법문사, pp.109-112, 2012.
  5. 최응렬, "경찰행정학 전공자의 활용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5호, pp.191-195, 2003.
  6. 이황우, 경찰학개론, 제4판, 서울: 법문사, p.166, 2005.
  7. 배정훈, 동기부여론, 서울: 형설출판사, p.138, 2006.
  8. http://www.police.go.kr/
  9. http://www.moleg.go.kr/
  10. 경찰청, 2013 국회제출자료, 서울: 경찰청, p.937, 2013.
  11. 이효민, 최영록, "경찰공권력 실추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3, p.19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3.197
  12. 조현빈, "한국경찰의 개방형임용제 도입가능성에 대한 검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pp.397-39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