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n the Tweet Credibility and Attitude Toward Tweet of Tweet Content, Function and Involvement

트윗의 내용과 기능 그리고 관여도가 트윗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현지 (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정동훈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Received : 2013.03.20
  • Accepted : 2013.05.02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variables influence on tweet credibility and attitude toward tweet. For this, the present research used the tweet content(information/opinion), tweet function(without URL and RT/URL/RT) and involvement(low/high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pplied a triangular research design which are in-depth interview, survey and computer usability testing softwar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ad tweets listed in order regardless of tweet content, function and involvemen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tweet content on the tweet credibility and an interaction effect of thos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attitude toward tweet. Finally, the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information is perceived to be more credible than opinion and URL>RT>just information or opinion are listed in order on the tweet credibility.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트윗을 볼 때 어떠한 변인이 트윗 신뢰도와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내용(정보/의견), 기능(없음/URL/RT) 그리고 관여도(저/고)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실험연구를 했다. 설문지, 인터뷰 그리고 유저빌리티 테스팅 소프트웨어 등 세 가지 연구방법을 이용한 결과, 유저빌리티 소프트웨어를 통한 직접관찰에서는 실험 참여자들이 트윗 내용, 기능 그리고 관여도가 읽는 순서, URL 클릭여부, RT시 원래 트윗 작성자 확인여부 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트윗 신뢰도에서는 내용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그리고 트윗 태도에서는 트윗 내용, 기능 그리고 관여도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해서 의견 보다는 정보가, 그리고 URL>RT>아무 것도 없는 정보나 의견 순으로 더 신뢰할 만하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그 이유는 개인 의견에 대한 한계와 URL과 RT 등을 통한 정보원에 대한 신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많은 트윗 가운데 제한된 트윗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결과는 트윗 송신자들의 메시지 작성 형태에 대한 중요한 함의를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우관란, 송희석, "SNS에서 대인신뢰의 영향요인: 트위터 사용자 경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19권, 제2호, pp.197-215, 2012.
  2. 정동훈, 이현지, "기업 SNS 분석을 위한 범주화 연구", 광고연구, 제90호, pp.197-243, 2011.
  3. A. Java, X. Song, T. Finin, and B. Tseng, "Why We Twitter: Understanding Microblogging Usage and Communities," Proceedings of the 9th WebKDD and 1st SNA-KDD 2007 Workshop on Web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pp.56-65, 2007.
  4. M. Naaman, J. Boase, and CH. Lai, "Is it Really About Me?: Message Content in Social Awareness Streams," Proceedings of the 2010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pp.189-192, 2010.
  5. 이미나, 김옥현, "트위터 리트윗의 마인드셋(Mind-set): 메시지 재전송자의 역할 인식과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331-357, 2011.
  6. S. Ha and J. Ahn, "Why Are You Sharing Others'Tweets?: The Impact of Argument Quality and Source Credibility on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Proceedings of 3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pp.1-11, 2011.
  7. Y. Nam, I. Son, and D. Lee, "The Impact of Message Characteristics on Online Viral Diffusion in Online Social Media Services: The Case of Twitter," 지능정보연구, 제17권, 제4호, pp.75-94, 2011.
  8. R. Morris, S. Count, A. Roseway, A. Hoff, and J. Schwarz, "Tweeting is Believing?: Understanding Microblog Credibility Perceptions," Proceedings of the ACM 2012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pp.441-450, 2012.
  9. 곽해운, 이창현, 박호성, 문수복, "트위터는 소셜 네트워크인가?: 네트워크 구조와 정보 전파의 관점",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87-113, 2011.
  10. 유상필, 고건혁, 한상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관계 맺기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추천 시스템을 중심으로", HCI 2011, pp.1116-1119, 2011.
  11. 조화순, 김정연, "소셜미디어의 매체 특성과 참여의 커뮤니케이션: 반값등록금 관련 블로그와 트위터 내용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2호, pp.95-130, 2012.
  12. D. Antoniades, I. Polakis, G. Kontaxis, E. Athanasopoulos, S. Ioannidis, E. P. Markatos, and T. Karagiannis, "we.b: The Web of Short URLs,"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715-724, 2011.
  13. D. Zhao and M. B. Rosson, "How and Why People Twitter: The Role that Micro-blogging Plays in Informal Communication at Work," Proceedings of the ACM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pporting Group Work, pp.243-252, 2009.
  14. 김효동, "메시지 특성, 행위의 결과, 추구 가치에 기반한 리트윗 행위: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31-14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131
  15. 조세형, 이충무, "온라인 구매사이트의 정보콘텐츠가 정보서비스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상품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23-33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23
  16. 오재신, 강태경, 허미옥, "사용후기의 양과 품질이 구전수용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식과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0권, 제1호, pp.81-103, 2010.
  17. 설진아,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2009년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정기학술대회 특별세션 Social Communication Media 의 의미와 영향, pp.35-57, 2009.
  18. R. Fitzpatrick, "Additional Quality Factors for the World Wide Web,"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ld Congress for Software Quality, pp.1-8, 2000.
  19.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20.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human behavior. Prentice Hall, 1980.
  21. 이미나, 김활빈, 김옥현, "리트윗의 결정 요인 분석: 태도와 규범, 커뮤니케이션 동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4호, pp.137-172, 2012.
  22. 장우성, 문윤택, "SNS(트위터와 페이스북) 브랜드개성과 충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2호, pp.359-387, 2012.
  23. C. R. Berger and R. J. Calabrese, "Some Explorations in Initial Interaction and Beyond: Toward a Developmental Theor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 No.2, pp.99-112, 197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5.tb00258.x
  24. S. Y. Rieh, Y. M. Kim, J. Y. Yang, and B. St. Jean, "A Diary Study of Credibility Assessment in Everyday Life Information Activities on the Web: Preliminary Finding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47, No.1, pp.1-10, 2010.
  25. G. Comarela, M. Crovella, V. Almeida, and F. Benevenuto, "Understanding Factors that Affect Response Rates in Twitter," Proceedings of the 23rd ACM Conference on Hypertext and Social Media, pp.123-13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