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and Emotions Displayed by Movie Characters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Dialogues in a Movie

영화 대사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감정과 서사간의 상관성 연구

  • 유은순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04.23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A linguistic element found in a movie, dialogue, plays a critical role in building up narrative structure. Still, analyses conducted on movies mostly focus on images due to the nature of a movie that conveys a story through its visual images while dialogue has either been underestimated or received less spotlight despite their importa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lines in a movie. This study calls attention to dialogue, which has stayed out of the main focus and been on the periphery thus far when analyzing movies, so as to see how they contribute to constructing a narrative. It then spotlights the significance of dialogue in the movie. To this end, the study sorts out emotional expressions articulated by actors through their dialogues then to make polarity classification into affirmation and negation, followed by a quantitative analysis of how the polarity propor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changes depend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e study also suggests a narrative's relevance with emotions by pointing to dynamic emotional changes that shift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depending on incidents, conflicts and resolution thereof throughout a movie.

영화의 언어적 요소인 대사(dialogue)는 영화의 서사 전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스토리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상 영화 분석의 초점은 주로 영상에 맞추어져 있었고, 대사는 평가절하되거나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영화 연구에서 부차적이고 주변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던 대사가 서사의 진행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고, 대사가 영화에서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를 위해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표출된 감정 표현(emotion expressions)들을 대사로부터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긍정과 부정으로 극성 분류를 한 후, 감정 표현들의 비율이 어떻게 서사와 연관성을 갖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훈,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 나타난 남성 캐릭터 재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p.11, 2013(2).
  2. 남승석, "한국현대영화에서 캐릭터 디자인과 내러티브 구조를 위한 배우 대사 퇴행 : <박쥐>(2009)에서 송강호 대사의 비유창성 비율에 대한 정량적 특징 분석", 담화와 인지, 제18권, 제2 호, pp.51-71, 2011.
  3. 류시응, "문학 : 현대 드라마에 나타난 언어의 해체 - 슈트라우스 , 이오네스코 , 아호턴부쉬와 얀들의 극 - 언어", 독일어문학, 제18권, pp.1-19, 2002.
  4. 문한별, 김일환, "김남천 소설의 어휘 사용 양상에 대한 계량적 연구", 현대조설연구, 제48호, pp.377-402, 2011.
  5. 박승보, 유은순, 정재은,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영화 스토리 발단부의 자동 경계 추출", 지능정보연구, 제17권, 제4호, pp.279-292, 2011.
  6. 서곡숙, "20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 : <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 와 <오! 해피데이>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26호, pp.209-233, 2005.
  7. 오길경, 사회변천에 따른 배우의 화법 변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0, 2005.
  8. 정철근, "어휘 통계학과 텍스트 해설", 한국프랑스학논집, 제23집, pp.517-538, 1997.
  9. 함준석, 이신영, 고일주, "텍스트의 정서 단어 추출을 통한 문학 작품의 정서 분석", 감성과학, Vol.14, No.2, pp.257-268, 2011.
  10. A. Salway, A. Vassiliou, and K. Ahmad, 'What Happens in Films?," IEEE Conference on Multimedia and Expo, ICME, 2005.
  11. A. Salway and M. Graham,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Emotions in Films," Procs. 11th ACM Conference on Multimedia, 4th-6th pp.299-302, 2003(11).
  12. E. Rubenstein, "The End of Screwball Comedy: The Lady Eve and The Palm Beach Story," Post Script. Vol.1, No.3, pp.33-47, 1982.
  13. E. S. You and S. B. Park, "Improved Performance of Emotion Extraction Through Banned Wor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T Convergence and Security 2011, pp.495-505, 2011.
  14. V. Lingabavan and A. Salway, "What are they talking about? Information Extraction from Film Dialogue," Dept. of Computing Technical Report CS-06-07, University of Surrey, 2006.
  15. 김광철, 장병원, 영화사전, Meadia 2.0. 2004, p.101
  16. 윤성은, 로맨스와 코미디가 만났을 때 : 한국 로맨틱 코미디의 구조와 변형, 이담북스, pp.44-75, 2011.
  17. 로버트 맥기, 고영범, 이승민 역,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pp.368-378, 2006.
  18. 클레르 바쎄, 박지회 역, 대사 (글로 쓴 텍스트에서 연출된 목소리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p.7-8, pp.15-31, p.67, 2010.
  19. S. Kozloff, Overhearing Film Dialogue, USA Californi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33-5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