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Community Consciousness of Leaders and Members of Rural Village Community Organizations by types - Case Study on Yesan Gun -

농촌 마을 공동체 유형에 따른 의식조사 - 충남 예산군을 대상으로 -

  • Chang, Woo-Seok (Dep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l Univ.) ;
  • Jung, Nam-Su (Dep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l Univ.)
  • 장우석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전공) ;
  • 정남수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전공)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6.1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sis of rural village's community status and consciousnes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community leaders and members. Nine types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ere selected in Korea through a pre-survey of amenity resources data from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rvey items that could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were derived from a literature survey of rural village community sys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2 Eup-Myeon in Yesan Gun and responses were gathered from 66 community leaders and 1,222 community memb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mmunity leaders show that 50% percent of rural village communities have been operating for over 25 years, and that community works such as group purchases are carried out based on emotional sympathies between residen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data collected from community members show that on average, community activities are carried out at places that are between 30 and 60 minutes away. Most members are satisfied with regard to the status of their rural village community.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ural village community satisfaction depended on travel time, community fee, and activity time.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기, 박대식, 1995, 도시와 농촌공동체의 변화, 한국사회학회, 95-143.
  2. 강성준, 2005, [특집 : 농업의 위기, 생명의 위기. 3] 농촌 공동체의 해체를 넘어 도농 협력형 지역연대로, 환경과 생명 43, 65-86.
  3. 강수택, 2002, 한국 사회 공동체 논의의 현황 :1980년대와 그 이후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비평 2, 1-29.
  4. 강승구, 2008, 농촌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 농촌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경운대학교 새마을아카데미 연구논총, 1, 379-417.
  5. 강용배, 2003, 지역사회 정체성과 사회자본 형성요인 분석-지역공동체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회보, 7(2), 189-216.
  6. 강용배, 2004,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한국정책과학회보, 8(4), 5-30.
  7. 고진하, 1991, 論 : 뒤틀린 농촌현실과 공동체의 꿈, 오늘의 문예비평, 4, 58-72.
  8. 김구, 2010, 지역공동체 재창조를 위한 지역정보화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탐색, 한국지역정보학회지, 13(2), 1-21.
  9. 김수미, 2003, 사촌마을 동제의 변화와 동성집단의 정체성 확립,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농촌진흥청,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최종보고서.
  11. 박명규, 1997, 촌락 중심 촌락사의 의의와 한계 : 조선시대 촌락사회사, 이해준 著 <書評>, 역사와 현실, 23, 203-214.
  12. 서의훈, 2011, SPSS 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13. 오윤경, 조순재, 최진용, 임승빈, 안동만, 이정재, 이동근, 2007, 농촌 어메니티 자원조사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3(1), 1-9.
  14. 오창현, 2008, 농지개혁과 마을 공동체의 변형, 경기동남부의 두 지역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4(2), 77-121.
  15. 윤소영, 김영현, 류연정, 2009, 공동체 활동 관련 사례분석 및 지원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6. 이동필, 2007, 농촌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과제, 국토, 305, 102-111
  17. 이해준, 1996, 서평 : 조선시기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18. 임재해, 2001, 농촌 공동체 문화의 활성화 방향 구상과 실천 과제, 한국민속학회, 33, 255-297.
  19. 지달님, 임승빈, 2008, 농촌마을 공동체의식 측정을 위한 설문항목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 조경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0. 최수명, 2006, 새로운 공동체 질서형성과 농촌지역 개발, 전원과 자원, 48(1), 19-25.
  21. 최수명, 리신호, 김기성, 황한철, 김대식, 김영주, 정남수, 2011, 농촌계획학, 동명사
  22. 최재석, 1972, 韓國에있어서의 共同體 硏究의展開, 한국사회학회, 7, 21-35.
  23. 최재석, 1987, 연구논문 : 자연부락의 성격과 그 변화, 한국문화인류학회, 19, 167-215.
  24. 최협 외, 2001,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선인.
  25. 최협, 1987, 한국사회.공동체.공동체이념, 한국사회학회, 15-33.
  26. Mattessich, P. et al., 1997, Community Building : What Makes it work, Saint Paul, M.N.: Wilder Foundation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