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태원 부군당(府君堂) 마을 숲의 변천과 가치

The Value and Change of the Forest Village Bugundang in Itaewon, Seoul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서민의 삶과 문화가 담긴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의 변천 과정과 변형 전 모습을 기록하여 서민 생활문화 공간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부군당은 마을 숲의 중심건물로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하며, 이중의 담장과 금기사항으로 보존되어 왔다. 마을 숲의 물리적 요소는 부군당의 신성성을 부여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둘째,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은 도심지 내 녹지의 역할과 남산에서 용산가족공원을 잇는 연결 녹지로서 역할을 담당한다. 더불어 비오톱 1등급 지역으로 절대 보존지역에 해당하는 생태적 가치를 지녔다. 셋째, 마을 숲 내 대경목인 느티나무와 음나무는 서울시 보호수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를 지녔다. 넷째, 부군당 건물은 한식목구조 형태로 이질적인 재료가 결합되어 건축되었다. 건축사적 희소성과 구조적 특징으로 등록문화재로 등록할 수 있는 가치를 갖추고 있다. 다섯째, 이태원 부군당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당과 당제는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로서 가치를 지니며, 자생적인 전통 커뮤니티 발굴로도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이태원 부군당 마을 숲은 지역의 전통조경 대상지로서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이어주며 오늘날 새로운 마을 공동체의 공간으로 재생되었을 때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 및 도시경관 요소로서 잠재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군당 건물의 경우 건축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research try to review about individuals' living culture place by record to before process of transition and modify of Bugundang village's forest in Itaewon. A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aewon Bugundang is located in highest site of center building of twon forest, it has been preserve by double fence and taboo subject. Physical element of village forest is a factor which give sanctity of Buhundang. Second, it is connecting Namsan and Yongsan Family Park as green space. Also Itaewon Bugundang isolated from the current residential area. but in the past, the main beliefs and rituals of its area are responsible for a diverse community where public service was strong. Itaewon Bugundang have played a role presenting a local taboos and social norms. Therefore, these elements of the local community have th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Third, Zelkova and Kalopanax pictus need to be preserved the value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urth, components of Bugundang are built by Hwajucheong, Dangjigi house, seonangdan, monument, fence, masonry and various trees.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each of these elements remains as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historic architectural properties has the value as a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ifth, due to these features, the traditional landscape of Itaewon bugundang play a role succeeding disappearing traditional culture and is worth as a potentially valuable landscape elemen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the excavation community tradition disappearing landscape and excavation of candidate new tra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봉, 류연수(2006). 전통 마을 숲에서 찾아본 조경의 의미. 한국학논집. 제33권.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p233-261.
  2.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 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학범(1994). 마을 숲 - 한국전통부락의 당숲과 수구막이. 서울: 열화당.
  4. 김해경(2010). 효창공원의 장소성 형성과 변화 해석. 서울학 연구 39호. pp79-119.
  5. 김태곤(1983). 한국민간신앙연구. 서울: 집문당.
  6. 김태우(2008). 서울 한강 유역 부군당 의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수이(2009). 커뮤니티 의식 활성화를 위한 마을 만들기 방법 비교 연구: 한평공원만들기사업과 공공미술사업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서울특별시(1995). 서울민속대관 10. 서울특별시.
  9. 안창모(2009). 철근콘크리트조 한옥의 사회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제고. 대한건축학회지. 53(9): 36-41.
  10. 양종승(2012). 서울 이태원 부군당굿. 서울: 민속원.
  11. 오문선(2008). 서울지역 공동체 신앙 전승과정 고찰. 문화재지. 41(2): 5-25.
  12. 유승훈(2003). 경강변 부군당의 성격과 역사적 전개 양상. 서울학 연구 20호. pp101-137.
  13. 이능화(1995). 조선무속고. 서울: 동문선.
  14. 이상훈(2013). 마을 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동수(2009).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 서울: 도서출판 조경.
  16. 황루시(1984). 일체감의 확인, 자존의 축제 -경기도 도당굿-. 서울: 열화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