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황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로 살펴본 창덕궁 후원의 원형경관 탐색

Study on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in Changdeok Palace through Gang Sehwang's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 발행 : 2013.03.31

초록

본 연구는 강세황의 "호가유금원기"를 통해 정조 연간 창덕궁 후원의 원형적 물상과 전후 변화상을 고찰한 것으로 옥류천, 만송정, 망춘정, 존덕정, 폄우사, 태청문 일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호가유금원기"에서 묘사한 옥류천 영역의 특징으로는, 소요정을 두른 담장, 부벽준의 회화 기법처럼 입체적인 산을 표현한 위이암의 형상, 태극정 앞의 지당이 있었다. 강세황이 포착한 태극정 앞의 지당은 "동궐도"에서도 확인되며, 고종황제 즉위 40년을 경축하는 칭경예식 때 원유회장으로 예정되어 있었던 옥류천의 정비과정에서 철거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후원 꽃구경의 명소였던 망춘정 일대의 특징으로는 조각된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담장 내부에는 육면정의 구조를 하고 있는 망춘정이 있고, 그 초석은 백옥으로 조각되어 있었다. 또한 천향각으로 추정되는 낭무가 망춘정과 인접해 있었다. 강세황은 폄우사의 행각, 태청문과 이를 두르고 담장도 자세히 묘사하여 "동궐도"에 나타난 공간구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rototype of the rear garden in Changdeok Palace during King Jungjo's reign through Gang Sehwang's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and the site of this study included the whole areas of Ongnyucheon(玉流川), Mansongjeong(萬松亭), Mangchunjeong(望春亭), Jondeokjeong(尊德亭), Pyemwoosa and Taichungmun(太淸門).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f Ongnyucheon described in Record of Strolling with King in the Forbidden Garden was the shape of Wiyiam expressed three-dimensional mountain such as the fence surrounding Soyojeong(逍遙亭) and the painting techniques of Fu Pi' ts'un and pond in front of Taegeukjeong(太極亭). The pond in front of Taegeukjeong(which was described by Gang Sewhang) is also identified in Donggwoldo(東闕圖) and this study judged that the pond was removed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of Ongnyucheon, where was scheduled as the place of entertainment when Chinggyong-Yesik(稱慶禮式: Royal court rites) was held to celebrate the 40th anniversary of King Gojong's reig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area of Mangchunjeong where was the attraction point for flower viewing in the forbidden garden was surrounded by the sculptured fence, and Mangchunjeong which was hexagonal structure was located in the inside of the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main building. The cornerstone was carved with white jade. Also a corridor assumed as Chunhyanggak(天香閣) was adjacent to Mangchunjeong. Gang Sehwang confirmed the space organization appeared in Donggwoldo by describing the attached building of Pyemwoosa, Taichungmun, and surrounding fence in detai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세황 지음, 김종진, 변영섭, 정은진, 조송식 역(2010). 표암유고. 파주: 지식산업사.
  2. 宮闕志(장서각 K2-4360).
  3. 宮闕志(장서각 K2-4363).
  4. 茶山詩文集.
  5. 부산박물관(2009). 사진 엽서로 보는 근대풍경 4. 부산: 부산박물관.
  6.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1994). 궁궐지 1. 서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7. 承政院日記.
  8. 이돈수, 이순우(2009). 꼬레아 꼬레아니. 서울: 하늘재.
  9. 이윤상(2003). 고종 즉위 40년 및 망육순 기념생사와 기념물: 대한제국기 국왕 위상제고사업의 한 사례. 한국학보. 29(2): 96-139.
  10. 日省錄.
  11. 정우진, 심우경(2012). 동궐도상의 존덕정 영역에 나타난 무편액 건물의 조영사적 고찰. 문화재. 45(1): 148-173.
  12. 정우진, 김형석, 심우경(2012). 창덕궁 옥류천의 수경(修景) 특성과 변천과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42-56.
  13. 朝鮮王朝實錄.
  14. 朝鮮總督府(1915). 朝鮮古蹟圖譜10. 東京: 朝鮮總督府.
  15. 한국역사연구회(1998). 皇城新聞記事索引集上, 下. 서울: 景仁文化社.
  16. 홍순민, 강명숙, 박현순(2009). 서양인이 만든 근대 전기 한국이미지I 서울풍광. 파주: 청년사.
  17. 弘齋全書
  18. http://db.itkc.or.kr
  19. http://www.samuelhawley.com
  20. http://sjw.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