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ons and nanoparticles in the making

은이온 은나노 만들기: 은나노 세탁기를 둘러싼 나노의 정의와 위험 및 규제 관련 논쟁의 분석, 2006-2012

  • 유상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 Received : 2013.10.12
  • Accepted : 2013.12.09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Launched by Samsung in 2003, nano-silver washing machines were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commercial products until the U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EPA) decided to regulate companies that produce nano-silver products in 2006. A year later, however, the EPA reclassified the washing machines not as an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but as an ion-generating machine. As shown by the EPA's equivocation on this issue, establishing a category for nano-silver materia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dure of risk assessment and regul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ontroversy over Samsung's nano-silver washing machines more in detail to study how the demarcation between silver ion and nano-silver can vary according to the risk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In Korea and the US, the boundary between silver ion and nano-silver was malleable and mobilzed depending on the context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recent history of nano-silver washing machines,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 of risk perception over the ontological perspectives on a certain material.

2003년 출시된 은나노 세탁기는 초기에 나노기술이 접목된 가전제품으로서 큰 관심을 끌었으나, 이후에는 은나노 없는 은나노 세탁기라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 나노기술의 규제와 관련하여 미국 환경보호청 역시도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나노기술에 대한 규제 문제와 나노물질의 범주 설정 문제는 서로 결부된 모습을 보였는데, 본 논문은 은나노 세탁기를 둘러싼 논쟁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은이온과 은나노의 경계가 해당 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변화했는지를 추적할 것이다. 논쟁의 초기에 두 물질 간의 경계는 한국과 미국의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위험인식을 거치면서 뚜렷해졌다. 하지만 미국의 환경 단체들은 은나노 물질에 대한 위험인식을 바탕으로 은나노 물질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했고, 미국의 환경보호청과 한국의 환경부가 나노물질을 분류하는 기준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은나노 세탁기를 둘러싼 최근의 역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단순히 은이온과 은나노라는 물질의 정의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특정 물질에 대한 위험인식이 그 물질에 관한 존재론적 논의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