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 박승재, 강호감, 김희준, 송진웅, 유준희, 윤혜경, 장경애, 정병훈, 한인옥 (2000).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18. 과학기술부.
- 이보아 (2000). 박물관학 개론. 서울: 김영사
-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57-374.
-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a).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376-386.
- 이선경,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 (2005b).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849-866.
- 장현숙 (2006). 과학관에서의 과학과 통합교육 사례STS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25-44.
- 최경희, 장현숙 (2005). 과학관 전시물의 분석을 통한국내외 주요 과학관의 STS 교육 실시 현황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36-345.
- Anderson, D., Lucas, K. B., & Ginn, I. S. (2003). Theoret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in an informa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77-199. https://doi.org/10.1002/tea.10071
-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Henriksen, E. K., & Fryland, M. (2000). The contribution of museums to scientific literacy: views from audience and museum professional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4), 393-415. https://doi.org/10.1088/0963-6625/9/4/304
- Henriksen, E. K., & Jorde, D. (2001).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radiation and environment: Can museums play a role? Science Education, 85(2), 189-206. https://doi.org/10.1002/1098-237X(200103)85:2<189::AID-SCE60>3.0.CO;2-S
- Koster, E. H. (1999). In search of relevance: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Daedalus, 128(3), 277-296
- Melber, L. M., & Abraham, L. M. (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ion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11, 45-54. https://doi.org/10.1023/A:1013006930636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3).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 Osborne, J., & Dillon, J. (2007).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441-1445. https://doi.org/10.1080/09500690701491122
- Ruggiero, C. (2000). Spreading the analytical word. Chemistry & Industry, 5, 182-184
- Semper, R. J. (1990).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Physics Today, 43(11), 50-56.
Cited by
- Analysis of Students’ Behavior Patterns in Science Museums according to Watching rate and Watching hour - Focused on the Basic Science Hall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vol.18, pp.4,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011
-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vol.16, pp.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117
-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 vol.37, pp.6,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1005
-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vol.12, pp.3,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74
-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vol.43, pp.3,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9.43.3.300
-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 제고 vol.14, pp.2,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