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cience Museum: Focus on Organization, Operation, and Education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12.18
  • Accepted : 2013.04.0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museum in terms of evaluating its organization,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 The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for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in most target museums is the biggest impediment for domestic science museums to function properly. Second, funding has been very poor. Third, most museums failed to properly sustain exhibits, equipment, and facilities. Fourth, various advertising and marketing efforts for attracting more visitors are hardly done. And lastly, the domestic museums made little effort in pursuing research focusing on improving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s for domestic science museums to step-up opportunities have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 등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관 분석을 위한 평가틀을 개발하고, 28개의 과학관을 선정하여 관계자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원활한 과학관 운영이 어려웠다. 둘째, 과학관의 재정상태가 매우 좋지 않았다. 셋째, 과학관의 시설이나 전시물 관리에서 부족한 측면이 다수 발견되었다. 넷째, 과학관의 관람객을 이끌 수 있는 다양한 홍보나 마케팅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과학관의 연구 및 교육프로그램에 미흡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었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과학관의 발전 방안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2.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3. 박승재, 강호감, 김희준, 송진웅, 유준희, 윤혜경, 장경애, 정병훈, 한인옥 (2000).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18. 과학기술부.
  4. 이보아 (2000). 박물관학 개론. 서울: 김영사
  5.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57-374.
  6.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a).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376-386.
  7. 이선경, 이선경, 김찬종, 김희백 (2005b). 비형식적 과학 학습 자료의 시나리오 및 논증 구조: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룡관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849-866.
  8. 장현숙 (2006). 과학관에서의 과학과 통합교육 사례STS 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25-44.
  9. 최경희, 장현숙 (2005). 과학관 전시물의 분석을 통한국내외 주요 과학관의 STS 교육 실시 현황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36-345.
  10. Anderson, D., Lucas, K. B., & Ginn, I. S. (2003). Theoret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in an informa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77-199. https://doi.org/10.1002/tea.10071
  11.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2. Henriksen, E. K., & Fryland, M. (2000). The contribution of museums to scientific literacy: views from audience and museum professional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4), 393-415. https://doi.org/10.1088/0963-6625/9/4/304
  13. Henriksen, E. K., & Jorde, D. (2001).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radiation and environment: Can museums play a role? Science Education, 85(2), 189-206. https://doi.org/10.1002/1098-237X(200103)85:2<189::AID-SCE60>3.0.CO;2-S
  14. Koster, E. H. (1999). In search of relevance: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Daedalus, 128(3), 277-296
  15. Melber, L. M., & Abraham, L. M. (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ion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 Education, 11, 45-54. https://doi.org/10.1023/A:1013006930636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17.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3).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18. Osborne, J., & Dillon, J. (2007).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441-1445. https://doi.org/10.1080/09500690701491122
  19. Ruggiero, C. (2000). Spreading the analytical word. Chemistry & Industry, 5, 182-184
  20. Semper, R. J. (1990).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Physics Today, 43(11), 50-56.

Cited by

  1. Analysis of Students’ Behavior Patterns in Science Museums according to Watching rate and Watching hour - Focused on the Basic Science Hall i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vol.18, pp.4,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011
  2.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vol.16, pp.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117
  3.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 vol.37, pp.6,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1005
  4.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vol.12, pp.3,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74
  5. 과학관 전시물 연계 동화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정서에 변화를 가져온 요인 분석 vol.43, pp.3,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9.43.3.300
  6.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 제고 vol.14, pp.2,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