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Impacts of Sea-level Rise and Optimal Protection on Jeju Island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 추정 -제주도를 대상으로-

  • Received : 2013.01.07
  • Accepted : 2013.01.31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of sea-level rise on Jeju island and suggests the optimal protection level based on the FUND model. There exist a number of studies that estimate the impacts of sea-level rise on global scale, but their results are of limited use for local scale such as Korea.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some specific indicators and data of Korea into to FUND model for deriving site specific estimates. The results show that 2.01%~2.25% of land could be inundated by sea-level rise until 2100. The value of affected land is about 6.4%~7.2% of total land valu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figures indicates that the area affected by sea-level rise is much more valuable than the rest of Jeju island. The optimal protection level in Jeju city is higher than that in Seguipo city, even though the coastal length of Jeju city is longer than that of Seguipo.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economic value of Jeju cit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Seoguipo city.

본 연구는 FUND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의 경제적 피해 및 이를 방어하기 위한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대상을 전 세계나 대륙 중심으로 분석하여 개별 국가의 대응 정책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기 위한 시도로 FUND모형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한 지표 값들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제주도를 대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 비용 및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분석하였다. 2100년까지의 분석기간 동안 시나리오별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범람 면적은 약 2.01%~2.25%이고 토지 가치로는 6.4%~7.2%로 상대적으로 높아 범람 지역이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임을 보였다. 추정된 최적 해안 방어 비율을 보면 제주시가 87.16%~87.92%로 서귀포시 73.32%~75.47%보다 높다. 비록 제주시의 해안선의 길이가 서귀포시에 비하여 더 길어 해안 방어 비용이 더 필요하지만 제주시의 경제적 피해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해안 방어 가치가 더 큼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윤.조광우, "반경험식법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 예측",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013.
  2. 국토해양부, <기후변화에 따른 항만구역내 재해취약지구 정비계획수립용역 보고서>, 2011.
  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 정책 수립(II): 연안역 범람 평가 및 대응 방향>, 2009.
  4. 환경부,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II)>, 2011.
  5. 환경부,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경제학적 분석(I)>, 2009.
  6. 한국개발원, <고령화 사회의 장기 거시경제변수 전망>, 2007.
  7. Anthoff, D., S. Richard, and J. Tol, "The Climate Framework for Uncertainty, Negotiation and Distribution (FUND), Technical Description, Version 3.5," 2010, downloaded from www.fund-model.org (17 August 2012).
  8. Bosello, F., R. J. Nicholls, J. Richards, R. Roson, and R. Tol, "Economic Impacts of Climating Change in Europe:sea-level rise," Climatic Change, 112: 63-81, 2012. https://doi.org/10.1007/s10584-011-0340-1
  9. Fankhauser, "Protection versus retreat: Estimating the Costs of Sea Level Rise," CSERGE Working Paper GEC., 1994.
  10. IPCC, 2007a,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et al. Ed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1. IPCC, 2007b,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et al. Ed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2. Matthew Heberger et. al., , California Climate Change Center, 2009.
  13. Rahmstorf, S. et al., "Recent climate observations compared to projections," Science, 316: 709, 2007. https://doi.org/10.1126/science.1136843
  14. Vermeer, M. and S. Rahmstorf, "Global sea level linked to global temperature," PNAS, 106(5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