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ody Expressed in Thom Browne's Collection

톰 브라운의 컬렉션에 나타난 패러디

  • Received : 2012.06.25
  • Accepted : 2012.09.30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arody, and consider how parody was reflected in Thom Browne's collection centering on the expressive method. Thus, this study will attempt to shed new light on the creative possibility and artistic value of parody in men's fashion design. The methods are as follows. The idea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ve methods that represent parody was considered by referencing various related books, papers, art critiques, etc. Based on this theoretical study, a case of Thom Browne's collection (Thom Browne menswear: 2004 S/S-2012 F/W) was observed to find types of parody, attributes and significance. Photo material was collected through websites such as www.thombrowne.com, www.style.com, etc.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arody expressed in Thom Browne's collection was considered in the following aspects: imitative parody, critical parody and pastiche parody. Through such consideration, it was possible to realize the fashion designs that adapt Thom Browne's parody are very deliberate and calculative. The designs convey exaggeration, destruction of form, emphasis on discontinuity, transition into attraction, aesthetics of unfamiliarity, characteristic aspects of irrationality and contradiction. Through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Thom Browne's collection with parody adaptation shaping new creativity and broadening formative aspects in fashion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Hutcheon, Linda (1992), 패러디 이론, 김상구, 윤여복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7.
  2. 김영순 외 (2005), 패러디와 문화,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p. 114.
  3. "2012 F/W influence - 'Whimsical Recreation'", 자료검색일 2012. 6. 2, http://www.samsungdesign.net
  4. "남성 온라인 쇼핑몰 런칭 붐", 자료검색일 2011. 6. 28, http://www.samsungdesign.net.
  5. "The Year of the Man- 남성 매장의 진화", 자료검색일 2011. 11. 28, http://www.samsungdesign.net.
  6. 신명진 (201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러디,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2012 라이징 패션 Designer '긱 시크' 창조한 톰 브라운 뜨다"(2012. 1), Fashionbiz, p. 171.
  8. "패러디(parody)", 자료검색일 2012. 3. 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3472
  9. 김영순 외 (2005), 패러디와 문화,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pp. 116-117.
  10. 신익호 (2008), 현대문학과 패러디, 서울: 제이앤씨, p. 18.
  11. 김영순 외 (2005), 패러디와 문화,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p. 118.
  12. 차봉준 (2011), 패러디, 관계와 소통의 미학, 서울: 인터북스, pp. 30-31.
  13. Hutcheon, Linda (1992), 패러디 이론, 김상구, 윤여복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15, 23.
  14. 정끝별 (1996), 한국현대시의 패러디 구조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8-29.
  15. 고현진, 김민자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패러디 (parody)에 관한 연구, 복식, 25, p. 253.
  16. 문영대 (2004), 포스트모던 패러디 현상 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3(3), p. 316.
  17. 진경옥 (2001), 패러디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끝별 (1997), 패러디시학, 서울: 문학세계사, pp. 69-70.
  19. 고현진 (1994), 현대 패션에 나타난 패러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명진 (201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패러디,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보람 (2008),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 표현된 패러디 표현기법을 응용한 벨트 디자인 개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우세희, 김혜경 (2005), 포스트모던에 나타난 패러디 건축과 패션이미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5(2), pp. 1-15.
  23. 김미 (1996), 패러디광고의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상엽 (2006), 시각예술에 있어서 창조적 경험과 패러디에 관한 연구, 造形敎育, 28.
  25. 진경옥 (2001), 패러디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조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5.
  26. 정끝별 (1997), 패러디시학, 서울: 문학세계사, p. 69.
  27. 정끝별 (1997), 패러디시학, 서울: 문학세계사, p. 70.
  28. 김성곤 (2003),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서울: 문학사상사, p. 271.
  29. Hutcheon, Linda (1992), 패러디 이론, 김상구, 윤여복 역, 서울: 문예출판사, p. 192.
  30. 김성곤 (2003), 퓨전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서울: 문학사상사, p. 272
  31. 이승훈 (1991),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서울: 세계사, pp. 253-254.
  32. 이승훈, 박상배, 김오준 좌담 (1996), 메타시, 새로운 시대의 글쓰기, 서울: 현대시사상, pp. 94-97.
  33. 진경옥, 박민여 (2000), 포스트모던패션에 표현된 혼성모방, 복식, 50(5), p. 143.
  34. 이경희, 이은령 (2011), 패션 디자인 플러스 발상, 서울: 교문사, p. 200.
  35. 정끝별 (1997), 패러디시학, 서울: 문학세계사, p. 377.
  36. 조말희 (1996), 현대복식에 나타난 해체주의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4.
  37. 다께우찌 도시오 (1993), 미학.예술학 사전, 안영길 외 역, 서울: 미진사, p. 249.
  38. Arther Pollard (1978), 풍자, 송낙헌 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9-10.
  39. Arther Pollard (1978), 풍자, 송낙헌 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