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roach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 Geography Textbooks from Korea and England : A Case of Acid Rain

한영 지리교과서의 지구적 환경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 산성비를 사례로 -

  • Cho, Chul-K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eo, Jo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aegu Gatholic University) ;
  • Yi, Kyeong Ha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서종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이경한 (전주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 Received : 2013.10.04
  • Accepted : 2013.11.12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reviewed how acid rain as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as dealt with geography textbooks from Korea and Eng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geography textbooks from England, the concept and criteria of acid rain are not explained exactly in Korea geography textbooks. Second, whereas the cause of acid rain was explained with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in geography textbooks from England, in Korea the artificial factors only were explained. But if the artificial factors only will be introduced to students, they may misunderstand about the acid rain. Third, the results and policies of acid rain were provided in geography textbooks from Korea and England. But whereas they were deal with separately in Korea, in textbooks from England they were provided with their patterns and concrete case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xact concept, results and processes of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tructurally in geography textbook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results and their policies of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ith concrete cases for students' understanding and sympathy about them. If the concepts and causes of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re not understood previously, it is possible to stimulate only the moral and ethical aspects too much when the results and policies of them is introduced in geography textbooks.

연구는 지구적 환경문제의 하나인 산성비가 지리교과서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성비의 기준 및 개념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지리교과서는 영국 지리교과서와 달리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둘째, 산성비의 원인에 있어서 영국 지리교과서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균형있게 다루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지리교과서는 인위적인 요인만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은 학생들에게 산성비에 대한 오개념을 심어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산성비의 결과와 대책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와 영국 지리교과서 모두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지리교과서의 경우 산성비의 결과와 대책을 대체로 나열하는데 할애하는 반면에, 영국 지리교과서에서는 결과와 대책을 유형별로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매우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지리교과서에서 산성비, 지구온난화 등 지구적 환경문제를 다룰 때에는 정확한 개념에 대한 진술에서 시작하여,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및 프로세스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구적 환경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와 이에 대한 대책은 정보를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사례별로 학생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지구적 환경문제의 접근에 있어서 개념 및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결과와 대책에만 초점을 두어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측면만을 과도하게 강조할 가능성이 높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