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Jeon, Me-Ae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투고 : 2013.08.10
  • 심사 : 2013.09.23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로 살아가야 할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남의 H대학교 이공계열 전공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Kolb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전체 평균점수가 3.41로 나타나 Guglielmino & Guglielmino(1993)의 점수해석을 기준으로 할 때,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영역별 통계치를 보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학생의 Kolb 학습유형 4가지 기본척도 분석결과 능동적 실험(AE)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화(AC)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Kolb 4가지 학습유형 중 확산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수렴형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변인과 Kolb 학습유형 기본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기회의 개방성, 배움에 대한 사랑이 구체적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2) 학습기회의 개방성,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배움에 대한 사랑, 미래지향성이 추상적 개념화와 관계가 있었다. (3)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창의성이 반성적 성찰과 관계가 있었다. (4)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미래지향성이 능동적 실험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평균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Kolb 학습유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as life-long learne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42 students majored science and engineering in H university of Chung-nam province to participate in tak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sts and Kolb's learning styl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overall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s 3.41, which is possibly regarded as 'an average' according to Guglielmino & Guglielmino (1991)'s interpretation of scores. Second, among four basic scales of participants' learning styles, the highest is found in Active Experiment (AE), the lowest is found i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C). In addition, the highest thing of the four learning styles found among the participants is divergers (36.6%) and the lowest is convergers (13.4%). Finally, this study compares the high-level and low-level group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ore with learning styl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CE, AC (p=.01). Therefo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s related to learning 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미(2010). 간호대 여학생의 성격유형, 학습유형, 자기주도성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7(2), 1-25.
  2. 김지자 외(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2(1), 1-25.
  3. 노미애(2008).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높은 대학생의 내외 동기와 대인관계기술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 박영태, 현정숙(2002). 자기주도학습의 이해. 부산; 동아대 출판부.
  5. 박지영, 김영신(2005). 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소비자의사결정 스타일. 소비문화연구, 8(1), 153-178.
  6. 박진영(2004).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교육학연구, 42(2), 247-269.
  7. 배영주(2011).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열린교육연구, 19(4), 213-232.
  8. 배영주(2003). 성인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9. 배영주(2005). 자기주도학습과 구성주의. 서울: 원미사.
  10. 성현우(2010). 평생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준비와 진로태도성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1. 유귀옥(1997).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12. 윤세훈(2012).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동기, 메타인지, 직무특성 및 조직의사소통개방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3. 임세영 외(2012). Kolb학습유형검사의 한글버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30-44.
  14. 전규태(2010).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조학순(2007).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2(2), 57-72.
  16. 차갑부(1999). 사회교육방법의 탐구, 성인교육방법의 새로운 지평. 서울; 양서원.
  17. 최성용(2007).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8. 홍선연(2010).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홍영표(2002).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0. Brookfield, S. (1986).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1. Brown, H. D.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4th ed.). New York: Longman.
  22. Caffarella, R. S. & O'Donnell, J . M. (1988). Self-Directed Learning: A Critical Paradigm. Adult Education, 35(2), 59-71.
  23. Dunn, R. (1984). Learning Style: Sate of Science, theory into practice, 23(1), 10-19. https://doi.org/10.1080/00405848409543084
  24. Keffe, J. W. (1982). Assessing student learning style: An overview. VA: National Association of Swcondary School Principals.
  25.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to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Follett pub co.
  26. Kolb, D. A. (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Mcber & Company. Boston, MA.
  27.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28. Guglielmino, L. M. & Guglimino, P. J. (1993). Practical Experiance with Self-Directed Learning in Business and Industr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No. 64, Winter. 39-45.
  29.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2), 97-107. https://doi.org/10.1177/0001848186036002004
  30. Pithers, R. & Mason, M. (1992). Learning Style Preferences: Vocational Students and Teachers. Australian Education Researcher, 19(2), 61-71. https://doi.org/10.1007/BF03219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