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mong Male College Students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 Received : 2013.08.11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nd career barrier recogni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how students perceive mandatory military service as a potential barrier to their future careers(career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mong 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purpose, inquiries for the subject were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level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nd career barrier recogni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3. Is there a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depending on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This study found out the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military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284 male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Along with that, descriptive statistic,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with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79.2% of male students have higher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than the average value. Meanwhile, considering 3 sub-factors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the ratio of those with high scores in practicality is lower than importance and concreteness. Based on this, it is assumable that they have a low perception for practical and concrete behaviors such as data collection in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which indicates their awareness has not developed into concrete behaviors even though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lanning. Also 73.9% of male students responded higher career barrier recognition than the average value shows that they recognize mandatory military service as a barrier relatively highly. Especially, those who answered "Very much" (7 scores) for every inquiry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accounted for 16.9%, which forms the biggest group. and considering the response by each inquiry, it is ascertained that they consider the absence by mandatory military service time or military service as the biggest difficulty. Second,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between the top 30% and bottom 30%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 terms of importance and the sub-factor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is shown. In other words, to join the military is recognized as an obstacle in their career barrier recognition regardless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lso, a group which considers the importance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highly recognizes the military as the bigger obstacl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which are not considered in this way. Third, the difference in career barrier recognition between the top 30% and the bottom 30%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eed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marked by the fact that those with a high level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show stronger career barrier recognition than those without plans. Through the study, the need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is suggested to both male students and career consultants considering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from a perspective of career based on Korean reality. Also, as precedent studies on pre-inducted men can be hardly found curren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ccumulating empirical data about mandatory military service,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career development process.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충남지역 남자 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군 의무복무계획, 진로장벽인식,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 정도,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자대학생의 79.2%가 군 의무복무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군 의무복무계획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계획을 세우기 위한 실제적 행동적 노력을 행하는 남자대학생들은 비교적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대학생의 73.9%가 진로에 있어 군 의무복무를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최대 집단(1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문항별 응답분포를 통해 군 의무복무 시기의 문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과 남들보다 뒤쳐질 수 있다는 어려움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군 의무복무계획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중요성의 경우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남자대학생에게 군 의무복무라는 장벽은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과 상관없이 자신들의 진로과정에 있어 방해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군 의무복무계획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군 의무복무를 더 큰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군 의무복무계획의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였다는 것은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자대학생과 진로상담자에게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의무복무 전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에서 한국적 진로발달과정의 독특한 특성인 '군 의무복무'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축적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승신(2004).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 금지헌(2012). 교육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7), 59-66.
  3. 김미란(2007).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봉환, 김계현(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311-333.
  6. 김수리(2005).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수지, 이정자(2013).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1), 119-136.
  8. 김영모(1991). 계획이론 쟁점에 관한 고찰. 지역사회개발연구, 16(2), 7-21.
  9. 김은영(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충기(1999). 진로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 계획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0, 135-182.
  11. 김한수(2001). 효과적인 군 홍보방안 연구 : 입대 전 남성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박성욱(2005). 남자대학생의 병역의무수행계획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박양근(2006). 똑똑한 놈이 웃으면서 군대 간다. (주)한언.
  14. 박완성(2005). 진로탐색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18(2), 289-304.
  15. 배소정(2004).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서화정(2008).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벽 수준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서우석(1994).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서혜석(2008). 신세대 병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자기효능감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5), 109-131.
  19. 서혜석, 이대식(2008). 신세대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33-49.
  20. 손은령(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손은령(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된 진로장벽과 개인 심리적 변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415-427.
  22. 손은령(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연구, 15(2), 1-14.
  23. 오대환(2006). 아들아, 군대를 즐겨라. 새로운 사람들.
  24. 유미정, 최애경(2008).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19, 129-153.
  25.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6. 이명숙(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7. 이상도(2007). 군대가면 손해보는 7가지. 한국학술정보
  28. 이정근(1984).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서울 : 중앙적성연구소
  29. 이준기(2005).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대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0. 이준기(2005).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대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1. 이혜경(2011). 독서활동을 통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2. 임영봉(2007). 육군 신세대 병사 군 복무 동기부여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3. 장경임(2005).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농촌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4. 정지희(2007). 병영생활적응력 및 전역예정자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군 사회복지, 2007년 세계학술대회 추계 공동한국군 사회복지학회 자료집, 59-67.
  35. 전훈 외(2010).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진로계획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 연구, 17(12), 235-257.
  36. 황매향 외(2005). 진로탐색과 생애설계. 서울: 학지사
  37. Swanson, J. L., & Tokar, D. M.(1991a).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 92-106.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20-M
  38.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39. London, M. (1997).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4(1), 25-38. https://doi.org/10.1023/A:1025082420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