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pection and Physiognomy on the Viewpoint in Aesthetic

미학으로 본 망진과 동서양의 관상학

  • SaGong, Hee-Cha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wang, Chi-Hyuk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Byoung-Soo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Kyoung-Shi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Received : 2013.01.19
  • Accepted : 2013.02.04
  • Published : 2013.02.20

Abstract

The humans has tried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of all phenomena through the eyes. In oriental medicine, inspection is a one way of diagnosing by observing outer shape of patients. Physiognomy is the study which infers characteristics, constitutions, predestinations of one man from his appearance. In other words, the study is about how inner spirit is expressed in the appearance and how we could understand the inner side from appearance. According to it, shapes, proportions and balances of human appearance also reflect the unrecognized characteristics of human. Esthetical beauty is product of seeing, it is considered with judgment of human just like beauty or ugliness, right or wrong, good and bad. In the east, they consider that the beauty is balance of nature, and that balance and harmony is important at human's face. For such a reason, the highest beauty has ideal as agreement ethical and aesthetic level through the harmony of ethical and physical beauty. And Physiognomy and inspection are the same as it.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 이용태. 내경에 나타난 국소 부분 망진에 대한 연구. 동의한의연구 4:39-58, 2000.
  2. 김정헌. 한국인의 얼굴 한국인의 운명. 서울, 동학사, 1999.
  3. 王浩, 구중희 옮김. 역리학의 이해. 서울, 상명출판사, 2006.
  4. 최화정. 마의상법의 이론적 고찰 : 마의상법의 석실신이부, 금쇄부, 은시가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008.
  5.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 著, 김희경 譯. 朝 鮮의 占卜과 豫言. 서울, 동문선, 1991.
  6. 진희이 저, 최인영 역. 麻衣相法. 서울, 상원 문화사, 2010.
  7. 설혜심. 16.17세기 영국 관상학의 사회적 기능과 변천. 역사민속학 7:207-226, 1998.
  8. Lavater, Johann Caspar. Physiognomische Fragment zur Beforderung der Menschenkenntnis und Menschenliebe. Berlin, Leipzig und Winterthur, 1984.
  9. 한철. 얼굴과 문자 -18세기 독일 관상학의 기호론적 구상들. 독일어문학 44:201-223, 2009.
  10. 이선희, 한중 '얼굴'의 의미확장과 개념화 양상. 中國語文學 55:411-438, 2010.
  11. 우리히 렌츠. 아름다움의 과학. 서울, 프로 네시스, 2008.
  12. 오주영. 한국의 미의식에 의한 장승의 조 형성 연구 : 자수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8.
  13. 고바야지 신지, 김경자 역. 무용미학. 서 울, 현대미학사, 1983.
  14. 김익달. 철학과 사전. 서울, 학원사, 1970.
  15. 강신. 모델의 미적 표현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4.
  16. 오병남. 미술교육과 미학. 美術史學 2(1):49-60, 미술사학회지, 1988.
  17. 대니얼 맥닐. 얼굴(THE FACE..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3.
  18. 김광호.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살펴 본 안면망진의 원리.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7(1):387-409, 1998.
  19. 양력. 중의질병예측학. 서울, 법인문화사, 2001.
  20. 곽노규. 감각과 신체-고대 중국의학에서 신체 지각의 문제. 의철학연구 3:77-95, 2007.
  21. 배병철. 금석황제내경. 서울, 성보사, 1995.
  22. 이천. 편주의학입문(영인본.. 서울, 대성문화사, 1989.
  23.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1999.
  24. 김희봉.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 적 반성. 철학연구 89:1226-1237, 2010.
  25. 조민환. 유가미학에서 바라본 몸. 동양철학연구 18:429-457, 1998.
  26. 주희 저, 김진근 역. 완역 易學啓蒙. 서울, 청계, 2008.
  27. 김현숙. 篆刻의 方圓에 관한 周易美學的硏 究. 동양철학연구 60:340-367, 2009.
  28. 김석진. 대산주역강의. 서울, 한길사, 1997.
  29. 김웅권. 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동문선, 2003.
  30. 김명희, 윤천성. 현대미학의 미적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15(2):483-493, 2009.
  31. 노재욱. 노자 도덕경. 서울, 자유문고,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