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Effects of Port-Liquid Freight in Korea Port Revisited

한국 액체화물 항만물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재조명

  • Received : 2012.12.04
  • Accepted : 2012.12.18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conomic effects of port-liquid freight by focusing on Korea port and induce its policy implication. For this, 29 sectors' input-output tables with port-logistic sector as an individual sector is constructed. The direct industrial effects of port-liquid freight are analysed to be an increase in about 3.6billion dollars' worth of production of the port-logistic industry, an increase in about 1.98billion dollars' worth of value-added of the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about 11,589 employment in the industry. Including the indirect effects, the total effects on Korea economy are estimated to be an increase in about 4.9 billion dollar's worth of production, an increase in about 2.4 billion dollars' worth of value-added and an increase in about 17,746 employment. The total effects of port-liquid freight on Korea economy is about 2.5-3.0% of that of port-logistic total freight. the results suggest tkat thought economic effects of port-liquid freightare not large, we have to focus on policy support for port of port-liquid freight.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액체화물 처리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액체화물의 항만처리단계별 항만물류부문 직접 생산액을 추정 도출한다. 그리고 항만물류산업의 생산활동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산정을 위해 항만물류부문을 외생화한 통합 산업연관표를 작성 분석한다. 분석 결과로 2010년 기준으로 액체화물 항만처리단계 중 하역 보관 배송단계의 항만물류생산액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화물 처리로 인한 직 간접적인 총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 약 4조8,815억원, 부가가치는 약 2조 4,365억원, 취업유발은 총 17,74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액체화물처리의 총경제적파급효과는 부문별로 항만물류산업의 총 경제적 파급효과의 2.5-3%수준에 불과하여 아직까지 액체화물처리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액체화물처리 항만에 대한 향후 정책적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무역항의 항만시설사용료 체제 개편에 관한 정책연구, p.16, 2011.
  2. 김상춘, 최봉호, "울산지역 항만산업의 구조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2 호, pp.559-586, 2008.
  3. 김상춘, 최봉호,"항만 액체화물처리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울산항 액체화물 중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2호, pp.265-287, 2008(6).
  4. 김안호, 기성래,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41-160, 2005(12).
  5. 신계선,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부산신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15-148, 2007.
  6. 울산발전연구원, 울산항 액체화물의 부가가치 효과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07.
  7.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pp1345-1357, 2007.
  8. 정분도, 심재희,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3호, 한국항만경제학회, pp.311-329, 2011(9).
  9. 정봉민, 해운, 항만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10. 정태원, 인천지역 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및 클러스트 육성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006.
  11. 한국은행, 2010 산업연관표 연장표.
  12. 한연주,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서울 모터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10호, pp.187-196, 2011(10).
  13. https://www.spidc.go.kr
  14. http://kosis.kr/
  15. R. Miller and P.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 Prentice-Hall,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