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Family Friendly Management

가족친화경영 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 Received : 2012.11.21
  • Accepted : 2013.01.28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friendly management and determinants of its level. We choose measures about family friendly management and use their results from ESG evaluation model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We find that firms with larger size, lower leverage and higher firm value are more family friendly. And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firms are more family friendly when they have less women to total employees. But firms with higher largest shareholder holdings are less family friendly. These results show that listed firms in Korea should be more family friendly considering their level of woman employment. Also the interest and support from top management are needed for activating family friendly management, but largest shareholder of korean firms are not active yet.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의 극복을 위한 정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족친화경영의 현황을 살펴보고 가족친화경영수준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모형에서 가족친화경영과 관련된 평가지표 및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규모가 크고 부채비율이 낮으며 기업가치가 높은 기업일수록 가족친화경영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친화적 제도운영에 있어서는 종업원이나 정규직 직원 중 여성비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나타났다. 그밖에 최대주주지분율이 높을수록 평가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이 아직까지 여성근로자의 고용규모에 비해 가족친화적 제도의 운영이 부족하며 가족친화경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진의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우리 기업의 최대주주들은 이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인구 부문) 보도자료, 2011.05.30.
  2. 통계청, 2011년 4월 고용동향 보도자료, 2011.05.11.
  3. 보건복지부, 저출산 극복 위한 전국순회 100일 대장정 마무리 보도자료, 2011.06.16.
  4. 유계숙,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1 호, pp.249-270, 2008.
  5. 통계청, 2010년 출생잠정통계, 2011.
  6. http://ffm.mogef.go.kr/
  7.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 권, 제2호, pp.173-181,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2.173
  8. 유계숙, 전혜정, 가족친화기업 인증제 도입을 위한 지표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5권, 제9호, pp.113-130, 2007.
  9. 이병훈, 김종성, 가족친화경영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제19권, 제2호, pp.153-175, 2009.
  10. 이유덕, 가족친화경영이 조직성과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제 2호, pp.71-83, 2011.
  11. M. M. Arthur and A. Cook, "Taking Stock of Work-Family Initiatives: How Announcements of 'Family-Friendly' Human Resource Decisions Affect Shareholder Value," Industrial & Labor Relations Review, Vol.50, No.4, pp.599-613, 2004.
  12. G. Filbeck and D. Preece, "Fortune's Best 100 Companies to Work for in America: Do They Work for Shareholders?," Journal of Business Finance & Accouting, Vol.30, No.5&6, pp.771-797, 2003. https://doi.org/10.1111/1468-5957.05362
  13. W. Greene, Econometric Analysis 6th Ed. Prentice Hall, 2007.
  14. E. L. Kelly, E. E. Kossek, L. B. Hammer, M. Durham, J. Bray, K. Chermack, L. A. Murphy, and D. Kaskubar, "Getting There from He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Work-Family Initiativ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Business Outcomes," The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Vol.2, No.1, pp.305-349, 2008. https://doi.org/10.1080/19416520802211610
  15. H. Y. Ngo, S. Foley, and R. Loi, "Family friendly work practices, organizational climate, and firm performance: A stud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Hong Ko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0, pp.665-680, 2009. https://doi.org/10.1002/job.606
  16. S. J. Wood, L. M. de Menezes, and A. Lasaosa, "Family-Friendly Management in Great Britain: Testing Various Perspectives," Industrial Relations, Vol.42, No.2, pp.221-250, 2003.

Cited by

  1. Unmarried Workers Perceptions of Image and Work-Family Balancing Conditions of Dual-Earner Families vol.31, pp.4,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