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창기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진성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2.31
  • Accepted : 2013.01.2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of married in rural areas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the 206 immigrant women in chungcheongbuk-do. The study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positive(+) correlation of the relational exclusion, cultural exclusion, community exclusion, basic service exclusion, economical exclu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of the pos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cond,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re positive(+) effect of the relational exclusion, community exclusion, economical exclusion, negative(-) effect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exclusion. Third, Results of path verify that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perfect mediated by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refore, To decrease of Depression of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is to decrease Social Exclusion, Also there is included positively a strategy to increa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충청북도의 농촌지역(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206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방략을 매개로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우울감과 정(+)적인 관계는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기본서비스배제, 경제적배제이며, 부(-)적인 관계는 긍정적 정서조절, 부정적 정서조절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울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계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경제적 배제이며,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참여 배제, 긍정적 정서조절방략, 부정적 정서조절방략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결과, 사회적 배제와 우울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은 완전매개효과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배제를 감소시키데 더불어 정서조절 방략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 인정책 통계월보, 2011(3).
  2. 김도희, 이경은, "결혼이민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 15권, 제2호, pp.5-25, 2010.
  3. 변성원,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우울감 경험,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 R. S. Lazarus, Patterns of adjustment. New York : McGraw-Hill., 1976.
  5. A. T. Beck,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6. 임정미, 결혼이주여성의 심리 사회적 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 정기선, 한지은,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 건강", 한국인구학회, 제32권, 제2호, pp.87-114, 2009.
  8. 박시연,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과 '빗속의 사람' 그림의 반응특성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김은재,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여성 결혼이민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와 충남(천안.아산)지역거주,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임수진, 오수성, 한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전남지역 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4권, 제4 호, pp.515-528, 2009.
  11. 이정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유형별 불안, 우울, 사회적지지, 자아 존중감과 결혼만족도, 인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 최혜지, "이주여성의 사회적 배제가 문화변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보장연구, 제28권, 제1호, 제60 집, pp.217-244, 2012.
  13. K. M. Morris and S. Barnes, "Balloc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Work; Questions for the Future," Social Work Education, Vol.28, No.3, pp.230-236, 2009. https://doi.org/10.1080/02615470802659316
  14. 박동건, 조현주, 최대정, "직장에서의 특정 부적 정서 경험에 다른 정서조절이 수행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4호, pp.831-852, 2004.
  15. L. Camphell-Sills, D. H. Barlow, T. A. Brown, S. G. Hoffman, "Effects of suppression and acceptance on emotional responses of individual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pp.1251-1263, 2006. https://doi.org/10.1016/j.brat.2005.10.001
  16. S. Nolen-Hoeksema,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pp.569-582, 199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4.569
  17. 정미현, 김남재, "부적응 도식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연구, 제24권, pp.1-26, 2008.
  18. D. Byrne, Sccial exclusion,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2005.
  19. A. M. Grenier and N. Guberman, "Creating and sustaining disadvantage: the relevance of a social exclusion frame work," Health and Social Carein the Community, Vol.17, No.2, pp.116-124, 2009. https://doi.org/10.1111/j.1365-2524.2007.00804.x
  20. G. Room, "Social exclusion, solidarity and the challenge of globalis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8, No.3, pp.166-174, 1998.
  21. J. Pierson, Tackling Social Exclusion, London: Routledge, 2001.
  22. J. Figueiredo and A. Hann, Social Exclusion; An ILO perspectiv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r Studies, 1998.
  23. 강신욱, 김안나, 박능후, 김은희, 유진영,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05.
  24. S.E.U., The social exclusion of older people: evidence from the first wave of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ELSA), Final report.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London, 2006.
  25. 김태준,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6. R.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a definition. In N. A. Fox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73-100),"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Serial No.240), 1994.
  27. 이지혜, 부적응도식과 결혼만족간의 관계: 정서 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8. J. J. Gross,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Cognition and Emotion, Vol.13, No.5, pp.551-573, 1999.
  29.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pp.1311-1327, 2001.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30. 이지영, 권석만, "정서장애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8권, 제1호, pp.245-261, 2009.
  3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Washington, 2000.
  32. 이근후 역,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DSM-IV) 서울: 하나의학사, 1995.
  33. 정지연,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4. 강혜련,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5.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 '92년차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pp.437-455 1992.
  36. 배지연, 노병일, 곽현근, 유현숙,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3권, pp.7-27, 2006.
  37.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 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년기 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38. 유순희, 중년 여성의 스트레스, 정서조절, 삶의 의미와 우울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9. 신혜인,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정서경험특성 과 정서조절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0. 박형원, "해외이주 한인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재영 한인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308-316, 2010.
  41. 정문수, 정서강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방략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2.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3.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No.3,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4. 권명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Cited by

  1. Associations among acculturation stress, mental health literacy, and mental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vol.18, pp.4, 2016, https://doi.org/10.1080/14623730.2016.1213654
  2. Marriage Immigrant Mothers’ Experienc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Maternal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vol.25, pp.9, 2016, https://doi.org/10.1007/s10826-016-0445-2
  3. Mental health problems and acculturative issue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 qualitative study vol.56, pp.6, 2016, https://doi.org/10.1080/03630242.2015.1118724
  4. Meta-analysis of depression among marriage-based migrant women in South Korea vol.11, pp.3, 2017, https://doi.org/10.1111/aswp.12126
  5.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urhood on the Subjective Depression of Residents by Housing Type vol.29, pp.5, 2018, https://doi.org/10.6107/JKHA.2018.29.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