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Measurement Standard Scale for Festival Basic Quality(BASICQUAL)

지역축제 기초품질(BASICQUAL) 척도 개발

  • 맹해영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
  • 장형유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경영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3.01.03
  • Accepted : 2013.02.05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scales of festival quality.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in the discourse of KINDS(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and derived five constituent factors, basic quality measures of local festivals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 named these qualities "Festival BASICQUAL" that is consist of Infrastructure, Connectedness, Passion, Theme, Culture.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participants in "Geumsan Insam Festival" to verify the "Festival BASICQUAL" As the result, Infrastructure, Connectedness, Culture affected positively on Festival Attachment among all BASICQUALs. However, Passion and Theme did not positively affected o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n, Festival Attachment positively affected on Festival Satisfaction, while Festival Satisfaction also affected positively on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basic quality concerned with local festivals which is crucial fundamentals to quantify Festival BASICQUAL through empirical study. The proper applications and usage of these newly introduced local festival qualities enable to acquire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local festival.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축제품질 척도 개발 가운데 축제의 기초품질 척도를 개발하여 결과변수인 축제애착, 축제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축제 기초품질의 구성요인은 기반성, 유대성, 열정성, 주제성, 문화성이다. 척도의 개발의 목적은 축제의 기반환경인 축제적 토양에 대한 평가를 통해 축제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론기사 메시지 분석을 위해 분석의 틀로써 KINDS를 이용하여 5개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후속적 문헌연구를 통해 축제 기초품질 척도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척도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금산인삼축제"에 참여한 방문객을 표본 집단으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축제 기초품질 구성요인 가운데 기반성, 유대성, 문화성이 축제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축제애착은 축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만족 역시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기초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처음으로 개발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로써 축제기초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세분화된 축제품질 측정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 Getz, Event management & event tourism,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Corp, 1997.
  2. 이용철, 김건, "지역축제 체험프로그램 서비스품 질이 축제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 관광연구, 제13권, 제2호, pp.95-109, 2011.
  3. 류웅걸, 지역축제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 이용철, 김창수, "지역축제에 있어서 메인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축제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9권, 제1호, pp.285-306, 2008.
  5. 오상훈, "섬관광에서 문화축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제주관광학연구, 제3권, pp.255-266, 2000.
  6. WTO, Charter for Sustainable Tourism, Madrid, Spain: World Tourism Organization, 1995.
  7.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pp.12-40, 1988.
  8. 장기영, 김명호, 장소운,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축제만족도, 재방문 및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를 중심으로-", 산업 경제연구, 제24권, 제1호, pp.447-464, 2011.
  9. 현용호, 홍경완, "축제 방문동기 집단에 따른 축제 서비스 품질, 지역 관광 이미지, 재방문 의도간 구 조적 관계 고찰-다중 집단 동등분석을 중심으로 -", 관광연구논총, 제23권, 제1호, pp.169-191, 2011.
  10. 김경희, "축제 참가자의 추구편익에 따른 축제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그리고 행도의도간의 관계연구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37-263, 2010.
  11. 강혜숙, 김경선, "지역축제선택속성이 축제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양송이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4권, 제6호, pp.39-58, 2012.
  12. 김시중, "축제 사후이미지가 관광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5 권, 제1호, pp.63-76, 2012.
  13. 신창렬, 송학준, 이충기, "축제 품질, 축제 주제 인식, 지각된 가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 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pp.346-362, 2011.
  14. 허중욱, 박선희, "축제 방문자의 만족과 행동의 도 관계에서 인근 관광지 방문의도의 매개효과", 동북아관광연구, 제8권, 제1호, pp.81-99, 2012.
  15. 맹해영, 장형유, "지역축제 콘텐츠품질(CONTS QUAL)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 권, 제12호, pp.742-760, 2012.
  16. 임묵, 장인식, "지역공동체기반 마을축제 활성화 방안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5 권, 제2호, pp.167-188, 2011.
  17. 안혜원, 이민규,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78-385, 2010.
  18. 류정아, "민속축제의 관광자원화 과정에 대한 비 교문화적 고찰 : 소놀이축제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제14권, pp.235-266, 2009.
  19. 장정수, "화전놀이의 축제적 성격과 여성들의 유대의식", 우리어문연구, 제39집, pp.147-179, 2011.
  20. Gursoy, K. Kim, and M. Uysal, "Perceived Impacts of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by Organizers: An Extension and Validation," Tourism Management. Vol.25, No.2, pp.171-181, 2004.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092-X
  21. 강형기, "지역축제, 어떻게 성공시밀 것인가: 명확한 축제테마.주민참여.지방문화 함께 이뤄져야", 지방행정, 제48권, 제552호, pp.29-36, 1999.
  22. 김문겸, 유종숙, "프랑스 음악축제의 현대적 의미", 프랑스문화연구, 제20집, pp.93-116, 2010.
  23. 이용철, 김건, "지역축제 체험프로그램 서비스품질이 축제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 관광연구, 제13권, 제2호, pp.95-109, 2011.
  24. 황종규, 이명숙, "지역축제의 문화정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영주풍기인 삼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제1호, pp.95-118, 2008.
  25. 이정재, "한국 축제의 어제와 오늘", 한국의 민속과 문화, 제1권, pp.97-136, 1998.
  26. T. L. Berelson, Content Analysis, New York: Hafner, 1952.
  27. Singleton, Jr. Royce, B. C. Straits, and Margaret Miller Straits, Approaches to Social Research,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8.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경기, 법문사, 2006.
  29. 오정근, 축제의 의미부여와 의미구조: 안동국제 탈춤페스티벌의 이해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0. 송용회, "언론의 현실해석과 객관화 담론전략 :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2004년 국가보안법 개폐논쟁 관련 해설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229-251, 2007.
  31. G. H. Churchill,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arch, Vol.16, pp.3-6, 1979.
  32. J. L. Zaich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rmer Rearch, Vol.12, pp.341-352, 1985.
  33. 류정아, 축제인류학, 살림출판사, 2003.
  34. 이무용, 서울 축제발전 및 체계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35. 문화관광부,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문화관광부, 2007.
  36. R. M. Lee, M. Draper, and S. Lee, "Social Connectedness, Dysfunctional Interperson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Distress: Testing a Mediator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8, pp.310-318, 2001. https://doi.org/10.1037/0022-0167.48.3.310
  37. F. L. Rousseau, R. J. Vallerand, C. F. Ratelle, G. A. Mageau, and P. J. Provencher, "Passion and gambling: On the validation of the gambling passion scale (GP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Vol.18, No.1, pp.45-66, 2002. https://doi.org/10.1023/A:1014532229487
  38. 이충기, 송학준, 윤설민, "갬블링 동기.열정.참여 의도간 구조관계 분석: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4호, pp.217-232, 2011.
  39. G. A. Mageau, R. J. Vallerand, F. L. Rousseau, C. F. Ratelle, and R. J. Provencher, "Passion and gambling: Investigating the divergent affective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gambling,"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5, No.1, pp.100-118, 2005.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5.tb02095.x
  40. 김희정, 박현우, "전통문화축제 이벤트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제2권, 제2호, pp.43-59, 2006.
  41. 맹해영, 축제주제의 의미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2. UNESCO, Road map for arts education, The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building creative capacities for the 21st century, 2006.
  43. 최승담, 강신겸, "지역사회 애착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개념적 고찰 : 관광개발에 대한 시사점", 사회과학논총, 제20집, pp.203-222, 2001.
  44. Y. E. Tuan, "Rootedness versus sense of place," Landscape, Vol.24, pp.3-8, 1976.
  45. D. A. Baker and J. L. Crompton,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7, pp.785-804, 2000.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108-5
  46. D. Bowen and J. Clarke, "Reflections on tourist satisfaction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Vol.8, No.4, pp.297-308, 2002. https://doi.org/10.1177/135676670200800401
  47. J. W. Lounsbury and J. R. Polik, "Leisures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Leisure Science, Vol.14, pp.105-119, 1998.
  48. 김선희, "지역축제에 참여한 지역주민과 외지관 광객의 만족도 비교연구: 나주 영산강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1권, 제1호, pp.405-420, 2007.
  49. W. Boulding, A. Kalra, R. Staelin, and V. A. Zithaml,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No.1, pp.7-27, 1993. https://doi.org/10.2307/3172510
  50. 신현식, 김형준, "서비스품질이 청소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관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6호, pp.129- 146, 2010.
  51. A. S. Dick and K. Basu,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r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2(Spring), pp.91-99, 1994.
  52. 오선영, 강해상, "축제에서의 브랜드 태도, 만족 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천쌀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3호, pp.7-22, 2011.
  53. 하광수, 한범수, "주제공원 방문자의 만족과 방 문 후 행동의도의 결정요인", 관광학연구, 제25호, 제1호, pp.329-347, 2001.
  54. D. Bowen and J. Clarke, "Reflections on tourist satisfaction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Vol.8, No.4, pp.297-308, 2002. https://doi.org/10.1177/135676670200800401
  55. 이훈, "왜 지역축제에 참가하지 않는가? : 비참여 자의 장소애착도와 여가제약이론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제8권, 제1호, pp.31-47, 2005.
  56. 고승익, 오상운, 고경실, 주문수, "지역주민의 지역축제평가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31권, 제 4호, pp.177-198, 2007.
  57. 조원섭, 최상수, "천안시민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3호, pp.449-459, 2011.
  58. 정미경, 고기숙, "평생학습축제 참여자의 특성과 지역사회애착도가 축제만족 및 학습의욕촉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pp.55-82, 2011.
  59. S. F. McCool and S. R. Martin, "Community attache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winter, pp.29-34, 1994.
  60. 김규호, "문화행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2000 청주 세계문화엑스포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5권, 제3호, pp.117-131, 2001.
  61. 장병권, "지방자치제와 지역축제정책의 방향. 문화관광연구", 제2권, 제1호, pp.31-53, 2000.
  62. 김시중, 정경숙,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 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31-646, 2008.
  63. 민양기, "지역축제의 지각된 품질이 재방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각된 만족의 매개영향을 중심으로", 여행학연구, 제29호, pp.89-106, 2008.
  64. 배병렬,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도서출판 청람, 2007.
  65. S. Sharma, Applied multivariate techniques, New York: Wiley, 1995.
  66.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67. 안광호, 임병훈,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조사방 법론, 학현사, 2010.
  68. 채서일, 마케팅조사론(3판), 학현사, 1999.
  69. J. F. Hair, R. L. Anderson, and W. C.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1998.
  70. 김대업, AMOS Ato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71. J. Hattie, "Methodology Review: Assessing Unidimensionality of Tests and Item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9, pp.139-164, 1985(6). https://doi.org/10.1177/01466216850090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