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tical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exual Violence Among Athletes

운동선수 성폭력 실태 분석

  • Received : 2012.10.31
  • Accepted : 2012.12.05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athletes' experiences on sexual violence in sports. To achieve this purpose, all athletes except professionals, coaches, athlete's parents were targeted and finally a total of 2,041 respondents were selected. The main topic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actual condition of sexual harassment among athletes. Second, athlete's attitude on sexual violence was identified. Last,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was examined.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build up policie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solutions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must be multifaceted, including all stockholders.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부 성폭력 실태 분석을 통하여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는 2010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전국 초 중 고 및 대학 일반 운동선수와 지도자 및 학부모 등 총 2,0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최근 1년간의 성폭력 실태를 파악하였고, 둘째, 운동선수들의 성폭력에 대한 대처 및 태도를 중심으로 근원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성폭력에 대한 예방실태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성폭력 실태를 통하여 성폭력 방지를 위한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동부 성폭력은 단순한 선수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 가정, 지역사회, 정부 등 여러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종합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유관단체들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용, 나영일, 박일혁, 권성호, 조욱연, 김종호, 주종미, "운동선수 구타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6호, pp.91-102, 2011.
  2. 김미화, 성폭력 대응을 위한 의료적- 법적 가이드라인, 서울: 들샘, 2007.
  3. 김영미, "운동선수의 성폭력 경험 실태 조사 및 성폭력 경험과 운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5호, pp.75-92, 2009.
  4. 김재엽, 이근영, "청소년 성폭력 피해 실태 및 피해 경험에 따른 정신 건강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제16권, 제2호, pp.247-271, 1998.
  5. 김창군, 임계령,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법학연구, 제38권, pp.173-198, 2010.
  6. 남상우, 이석호, 여정권, 박창선, "스포츠에서의 성희론 인식 차이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6 권, 제4호, pp.117-127, 2007.
  7. 남중웅,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 제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68-37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68
  8. 문용린, 임재연, 이유미, 강주현, 김태희, 김충식 외, 학교폭력 위기개입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8.
  9. 문화체육관광부, 프로스포츠팀과 직장운동부의 여성선수 권익실태조사, 2007.
  10. 박옥임, 도미향, 류도희, 박애선, 백경숙, 성정현 외, 성폭력 전문상담,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4.
  11. 변혜정, "성폭력 예방과 여성의 성적 건강권", 여성건강, 제1권, 제2호, pp.117-137, 2000.
  12. 이성은, 이명선, 변혜정, 김상범, "중.고교 학생선수의 학습권-폭력-성폭력의 인권 침해 발생구조에 대한 성 정치학적 분석", 한국여성학회지, 제 25권, 제1호, pp.35-66, 2009.
  13. 조현빈,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 이해",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권, 제2호, pp.39-59, 2006.
  14. 주종미, "운동부 내 성폭력 실태와 대응 방안", 스포츠와 법, 제11권, 제3호, pp.219-244, 2008.
  15. 허현미, "엘리트 남녀선수의 성폭력 피해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제28권, 제2호, pp.75-107. 2011.
  16. 허현미, 황정임, 선보영, "여성선수 성폭력에 대한 여성지도자의 인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2호, pp.401-421, 2008.
  17. C. H. Brackenridge and K. Fasting, Sexual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International Research and Policy Perspectives, Whiting & Birch Ltd, 2002.
  18. J. Coakley, Sports in Society. Boston: McGrawHill, 2007.
  19. C. Hassall, L. H. Johnston, J. D. Bringer, and C. H. Brackenridge, "Attitude towards Sexual Harassment: Coach and Athlete Perceptions of Ambiguous Behaviours,"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28, No.2, pp.1-21, 2002.
  20. L. Kirby, K, Greaves, and O. Hankivsky, The Dome of Silence: Sexual Harassment and Abuse in Sport. Ontario: Fernwood, 2000.
  21. D. Lackey, "Sexual Harassment in Sports," The Physical Educator, Vol.47, No.2, pp.22-26, 1990.
  22. N. J. Toftegård, "The Forbidden Zone: Intimacy, Sexual Relations and Miscondu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es and Athletes,"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36, pp.165-183, 2001. https://doi.org/10.1177/10126900103600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