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On the Use of Q Methodology in Research on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 양창훈 (관동대학교 행정학과) ;
  • 이제영 (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투고 : 2012.11.30
  • 심사 : 2013.01.15
  • 발행 : 2013.01.28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공직선거운동의 전광판 광고에 대한 주관적 수용형태의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공직선거운동 과정에 있어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방법론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개별 응답자의 주관적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유형을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증적 연구를 위한 탐색적 과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인식은 공직선거의 정치 현상을 쉽게 인식하기 위한 광고기법 개선형, 공직선거에서 유권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관심 유발형, 그리고 공직선거를 통해 유권자와 소통하기 위한 진실 유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수용인식의 구분을 통해 함의할 수 있는 것은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이 단순히 전광판 광고의 홍보적 측면보다는 활용성과 참여성 그리고 광고효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선거환경 속에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정당이나 후보자들 뿐만 아니라 수용자들을 포함하여 공직선거 광고의 효과, 선거공약을 활용한 광고기법의 긍정적 활용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보다 더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tility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by applying Q methodology that draw upon schematic model in subjectivity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college students to classify the 16 selected Q-statements into a normal distribution using a 7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types of perceived utility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Type I can be categorized by a strong concern for the advertising technique improvement, Type II can be categorized by advocating for interest induction and Type III can be categorized by the truth inducement. The use of Q methodology provides insights into audience perceptions on the utility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that would not be available through traditional methodologies and offers a foundation for audience involvement to address and overcome concerns about the utility of advertising for election campaig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영, "2011 대한민국 총 광고비 리뷰와 전망", 제일 인사이드, 2011.
  2.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12/ h2007122018424821060.htm.
  3. 김미애, "지방자치단체 및 국회의원 선거에 사용 된 정치광고의 특성-부산광역시 영도구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권, 제2호, pp.36-69, 2001.
  4. 나미수, "한국과 미국의 대선 정치광고 서사구조 의 비교 연구: 한국의 17대 대통령 선거와 미국의 44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 54권, 제2호, pp.323-345, 2010.
  5. 최용주, "제18대 총선 정치 광고 연구: 메시지 내 용 분석과 정치 마케팅적 분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0권, pp.73-120, 2008.
  6. 박원준, 박승대, 김광석, "대학생들의 정치 관여도 와 정당 선호도에 따른 옥외정치광고 효과에 관 한 연구", 옥외광고학회, 제5권, 제3호, pp.69-90, 2008.
  7. 탁진영, "텔레비전 정치광고가 후보자 이미지 구 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시간적 경과에 따른 변화 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5호, pp.328-353, 2006.
  8. 권혁남, "국회의원 선거운동 수단으로서의 정치 광고 활성화 방안",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167-187, 2000.
  9. 김인경, 박진우, "옥외 정치광고가 유권자에게 미 치는 효과: 명함형 정치광고와 벽보용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옥외광고학연구, 제5권, 제1호, pp.157-171, 2008.
  10. 서용모, 김경훈, 오치교, 김형준, "대전지역 간판 개선 사업을 통한 옥외 간판 만족도 조사",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215-22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215
  11. 김정희, "옥외간판디자인에서 캘리그라피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84-19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184
  12. L. L. Kaid, "Political advertising," In D. D. Nimmo and K. R. Sanders (eds.),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pp.249-271, 1981.
  13. W. H. Bolen, Advertising, NY: John Wiley & Sons, 1984.
  14. 홍득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5. L. P. Devlin, "An Analysis of presidential television commercials, 1952-1984," In L. L. Kaid, D. D. Nimmo, and K. R. Sanders(eds.), New Perspectives on Political Advertising,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p.22-24, 1986.
  16. 조경섭, "TV 정치광고의 광고효과연구: 이미지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제9권, 제2호, pp.89-117, 1998.
  17. G. M. Garramone, "Reactions to political advertising: Clarifying sponsor effect,"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61, pp.771-775, 1984. https://doi.org/10.1177/107769908406100404
  18. 박현길, 모바일 정치광고의 광고메시지 유형에 따른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9. 최소현,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광고 매체특성과 표현분석에 관한 연구: 17대 대선 후보의 정치광고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0. K. K. Whitehill and S. F. Tinkham, "The learning and retention of outdoor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9, No.6, pp.47-51, 1989.
  21. C. Burt, "Correlations between person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ol.28, pp.59-96, 1937.
  22. W. Stephenson, "Introduction to inverted factor analysis with some applications to studies in orex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7, pp.353-367, 1936. https://doi.org/10.1037/h0058705
  23. B. McKeown and D. Thomas,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 Sage, 1998.
  24. A. L. Valenta and U. Wigger, "Q-methodology: Definition and application in health care informatic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Vol.4, No.6, pp.501-510, 1997. https://doi.org/10.1136/jamia.1997.0040501
  25.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2, pp.67-91, 2005. https://doi.org/10.1191/1478088705qp022oa
  26.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1990.
  27.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