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s of Kirengeshoma Koreana Habitats

나도승마 서식지의 환경적 특성과 식생구조

  • Cho, Seon-Hee (University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Dae-Woo (University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Sang-Ho (University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Yeo-Hong (University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Jae (University fores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n-Sun (Department Forest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ge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habitats of the Kirengeshoma koreana, a class 2 endangered species class according to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OE), elucidat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stands in the habitats with the importance value and the diversity index,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nd explored their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rection analysis of natural habitats of the Kirengeshoma koreana, the direction was distributed to the north or the northeast, and the slope amounted to $15-40^{\circ}$, thus demonstrating that the slope has little effec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Kirengeshoma koreana populations dramatically increased starting in areas at least 600 m above the sea level and that the relative light intensity was 3.79% on an average. Most populations were native to gorges and crevices between rocks so that they mainly tended to inhabit areas that could see soil loss in times of precipitation. In addition, a considerable number of the populations were close to hiking trails as well, thus leading to concerns about their artificial destruction. The soil of layer a in the main growth space of the Kirengeshoma koreana was analyzed and turned out to be strongly acidic, measuring pH 4.45-4.89 (average: 4.68). All investigation sections were typical natural broad-leaved tree areas, and,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Kirengeshoma koreana was most likely to appear in colonies of the Mongolian oak tre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the Mongolian oak tree seems to be the species of tree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habitation of the Kirengeshoma koreana.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멸종위기종 2급인 나도승마 서식지의 생물학적 인자와 입지환경 조건을 조사하여, 중요치 및 다양도 지수에 의해 서식지 임분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고 요인별 비교분석 하여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나도승마 자생지의 향 분석 결과 방위는 북 또는 북동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는 15~40o로 경사에 대해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해발 600 m 이상 지역에서부터 나도승마 개체군의 분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었고, 상대광도는 평균 3.79%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개체군이 계곡부와 바위틈에 많이 자생하고 있어서 강우 시 토양유실이 우려되는 곳에 많이 서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고 상당수 개체군은 등산로와도 인접해 있어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 나도승마의 주된 생육공간내 A층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pH 4.45에서 4.89(평균 4.68)로 강산성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조사구들은 전형적인 천연활엽수 지역이었으며, 신갈나무군집에서 나도승마의 출현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신갈나무가 나도승마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종으로 해석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호, 김건래, 김진기, 박상홍, 이원규, 이중구. 2007. 한반도 희귀식물 나도승마(범의귀 과)에 관한 생태학적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1): 1-6.
  2. 김군보. 1997. 지리산 반야봉의 구상나무림에서 타감작용에 의한 치수성장 저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43.
  3. 김대우, 박학기, 정여홍, 김낙배, 박필선. 2008. 백운산 도솔봉과 따리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술림 연구보고 42(2): 11-32.
  4. 남유경, 곽혜란, 곽병화. 1997. 광도에 따른 Epipremnum aureum의 반입. 한국원예학회지 38(5): 537-540.
  5. 박학기, 김대우, 정여홍. 2008.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지역의 식물상(1).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학술림연구보고 42(4): 47-85.
  6. 방상원, 안선영. 2005.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종의 선정 평가기법 연구. 환경.정책평가 연구원. 서울. pp. 359.
  7. 이유성. 2002. 현대 식물분류학. 도서출판 우성. 서울. pp. 493.
  8. 이종석. 오혜원, 장연경, 이재준. 2002. 광도차가 Hosta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0(1): 103-103.
  9. 정진철, 장규관, 송호경, 안영환. 1999. Ordination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 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244-253.
  10.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694-700
  11. 차윤정. 2001. 전남 백운산지역 낙엽활엽수림에서 벌채후 산림발달단계별 조릿대의 생리적 특성과 생태적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5.
  12. 최도열. 2002. 희귀식물 나도승마와 모데미풀의 유전구조 및 교배양식에 따른 보전방안.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석사학위논문. pp. 103.
  13. George, L. and Bazzaz, F.A. 1999. The fern understory as an ecological filter: Emergence and establishment of canopy-tree seedlings. Ecelogy 80: 833-845. https://doi.org/10.1890/0012-9658(1999)080[0833:TFUAAE]2.0.CO;2
  14. Pfitsch, W.A. and Pearcy, R.W. 1989. Daily caron gain by Dejong, J.M. Comparison of three diversity indices based on their comparion of richness and evenness. oikos 26: 222-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