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 We report the results of the various parameters of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and CSF flow study of the cervical spinal cord using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Intramedullary FA and MD were measured in the gray matter and posterior cord of the white matter and both lateral cords of the white matter at the C2-3, C4-5, C5-6 spinal levels. For the CSF flow study, velocity encoding was obtained at the C2-3, C4-5, C5-6 spinal level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FA and MD between the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p < 0.05). The FA of the gray matt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ervical spinal cord levels (p < 0.05). Otherwise, the FA and MD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mean peak systolic velocity and mean peak diastolic velocity were $5.18{\pm}2.00cm/sec$ and $-7.32{\pm}3.18cm/sec$, respectively from C2 to C6 spinal c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velocities among the cervical spinal cord (p > 0.05). Conclusion: This basic information about DTI and CSF dynamics of the cervical spinal cord may be useful for assessing cervical spinal cord abnormalities using MR imaging.
목적 : 정상인 경수에 대한 내부 부위별, 경수 레벨별 확산텐서영상과 뇌척수액 속도에 대한 정상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인을 대상으로 3T MRI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확산텐서영상은 척수 레벨별로 각각 미리 정의해둔 백질의 후삭, 좌, 우 측삭과 회백질에 관심영역을 정하여 FA, MD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였다. PC 기법을 이용한 뇌척수액 속도 측정은 C2-3, C4-5, C5-6 척수레벨을 각각 스캔한 후, 척수 레벨별 최대 수축기 및 이완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FA 값과 MD 값에서 회백질과 백질의 내부 구조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 < 0.05)를 보였다. 경수 레벨별에서는 회백질의 FA 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 0.05)를 보였으며, 나머지 부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뇌척수액 속도 측정 결과, 평균 최대 수축기 속도 $5.18{\pm}2.00cm/sec$, 평균 최대 이완기 속도 $-7.32{\pm}3.18cm/sec$ 이었으며, 경수 레벨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결론 : 정상인에 대한 경수 확산텐서영상의 정량적 수치 및 경수 레벨에 영향을 받지 않는 뇌척수액 속도에 대한 평균치를 알 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