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기준점 마련과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외에 조성된 사례를 바탕으로 조성내용과 표현방식에 있어서 현황과 문제점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9개의 사례지를 선정하여 직접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전통의 단순한 재현으로 인한 대중적 보편성과 시대성이 결여되고 있으며, 전통성과 실험적 해석에서의 오류가 나타나고 있었다. 디자인측면에서는 전통정원의 점경물, 장식물 위주의 편집된 디자인 형태로 나타나며, 경관적인 면에서는 전통정원의 공간규모 및 체험위계에 대한 전달이 미흡하고, 주변 경관의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안내 및 정보전달측면에서는 다양한 명칭으로 인하여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이 결여되어 있어 명칭에 대한 통일이 요구된다. 조성 관리 및 이용측면에서는 공간성격에 적합한 식재 수종과 유사 대체수종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고, 이용행태를 고려한 수용적 자세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develop standards and found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ir components and expression methods and identify problems by investigating Korean gardens developed overseas. Nine sites were selected for field surveys and monitoring assessments. The results suggest: Overall, there is a lack of popular generality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among these gardens, as they are mere reproductions of historical elements. There have also been errors of traditional and experimental interpretations. In terms of design aspects, traditional gardens are primarily compilations of landscape elements and certain ornamental features. In terms of landscape, they tend to be insufficient in parlaying appropriate spatial scales and experiential hierarchies; they also lack considerations of the context of neighbouring landscapes. In terms of guidance and information delivery, there is a worldwide lack, in general, of recognition of Korean gardens, given the broad variety of names attached to them; therefore, name standardization is recommended. In terms of development, management, and use, it is essential that designers suggest plant types, as well as alternativ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 given space; a receptive attitude vis-$\grave{a}$-vi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