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Design Originality in Fashion Window Display on the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s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패션 윈도우 디스플레이의 디자인 독창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영 (영산대학교 문화산업대학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12.05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esigns that are displayed on fashion windows, specifically the originality of its designs, from here on noted as "design originality", and the effects it has on the attitudes of consumers toward fashion brands and their purchasing intention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0 pictures of creative fashion window display designs from Fifth Avenue in New York were selected and they were shown to 200 college students in Busan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actor analysis identified four factors that impacted how consumers judged design originality, uniqueness, humor, favorable impression and advanced design. 2) The four factors of design originality in fashion window displa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er's evaluation on usefulness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window display, attitudes toward fashion brands and purchase intention. 3) The respond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showed that they were influenced more by the design originality when making purchase decisions. Especially, the uniqueness factor and advanced design factor had more effect on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in high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group. The results revealed that creative fashion window display design are important marketing strategic tools that affect attitudes of consumers toward brands and their purchasing intentions.

Keywords

References

  1. 양진숙 (2011),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pp. 336-344.
  2. 이수철, 이은경 (2011), 명품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를 통한 아트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루이뷔통, 프라다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1), pp. 401-412.
  3. "VMD 전문가가 말한다-매장을 디자인하는 마이다스의 손", 자료검색일 2012. 5. 30,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4. 이재익, 안혜강, 손영수 (2011), Soft Sculpture을 활용한 백화점 디스플레이 연구- 국내외 윈도우 디스플레이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논문집, 28, pp. 83-96.
  5. 이수철, 이은경 (2011), 명품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를 통한 아트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루이뷔통, 프라다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1), pp. 401-412.
  6. 이원호 (2007),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고급화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보디자인학연구, 10, p. 143.
  7. 한은경, 심기환 (2002),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유형에 관한 연구-저관여 감성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3(2), pp. 1-28.
  8. 한태임, 조규화 (2010),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의 전략적 특성과 패션 경향 연구, 패션비즈니스, 14(5), pp. 21-34.
  9. 김영미, 강병석 (2012), 현대패션에 나타난 아트마케팅의 특성에 관한 고찰, 기초조형학연구, 13(2), pp.97-111
  10. "Louis Vuitton presents the first art collaboration for Middle East windows with renowned Iranian artist Farhad Moshiri", 자료검색일 2012. 5. 7, http://sandinourstilettosblogspot.kr/2011/11/louis-vuitton-presents -first-art.html#!/2011/11/louis-vuitton-presents-first-art.html
  11. 이수철, 김소현 (2009), 아트와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고찰-2008 S/S Collection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3), pp. 226-233.
  12. 이지은, 한여훈 (2010), 제품의 아트 주입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제품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1(4), pp. 797-821.
  13. 이용우 (2010), 예술광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13(2), pp. 169-179.
  14. 네이버 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5. 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89976&mobile&categoryId=673 네이버 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2. 5. 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915&mobile&categoryId=2885
  15. 김은주 (2008),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 디자인학연구, 21(5), pp. 15-25.
  16. 이용우, (2010), 예술광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형미디어학, 13(2), p. 172.
  17. 이주현 (2007), 감성마케팅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조형미디어학, 10(4), pp. 65-72.
  18. 주선희 (2012),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추구성향 조절효과 중심으로, 마케팅 관리연구, 17(1), p. 53.
  19. 김홍규, 이지수 (2010), 백화점 여성 의류브랜드의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1), pp. 27-39.
  20. 양진숙, (2011),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p. 339, p. 343.
  21. 나영주 외 (2007),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지, 10(2), pp. 187-198.
  22. 전민지, 오희선, 서용한 (2005),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윈도우 디스플레이 정보 효과 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 71.
  23.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관리 연구, 12(1), pp. 55-70.
  24. 박민정, 이소은 (2008), VMD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가 위험지각,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5), pp. 826-840.
  25. 신수연, 김민정 (2006), 광고태도와 VMD 태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스포츠웨어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4(5), pp. 766-775.
  26. 최미영 (2009), VMD 구성요소가 의류 브랜드 태도와 점포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9(7), pp. 100-113.
  27. 나영주 외, (2007),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지, 10(2), p. 196.
  28. 이소은, 박민정 (2011), SPA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긍정적인 고객행동 반응을 위한 VMD 구성요인의 역할,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64-165.
  29. 유은영, 이유리 (2007), VMD를 통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 129.
  30. 이지은, 한여훈, (2010), 제품의 아트 주입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제품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11(4), p. 803.
  31. 이미숙 (2008), 남녀 대학생의 VMD 의식성이 VMD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 112.
  32. 권혜숙 (2007), 의류쇼핑가치와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127-130.
  33. 주동미 (2008), 아트 마케팅을 활용한 광고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주현 (2007), 감성마케팅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조형미디어학, 10(4), p. 67.
  35. 한은경, 심기환 (2002),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유형에 관한 연구-저관여 감성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3(2), p. 8.
  36. 주선희 (2012),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특성이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추구성향 조절효과 중심으로, 마케팅 관리연구, 17(1), pp. 47-77.
  37. 이지은, 한여훈 (2010), 제품의 아트 주입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제품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1(4), p. 813.
  38. 김은주 (2008),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 디자인학연구, 21(5), pp. 22.
  39. 최선형 (2008), 포스트모던 패션광고에 대한 반응과 광고효과, 한국의류학회지, 32(2), pp. 328-339. https://doi.org/10.5850/JKSCT.2008.32.2.328
  40. 이은정 (2007), 남성 소비자의 인터넷 패션정보 사용, 패션관여와 쇼핑성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박은주 (2006), 패션관여, 쾌락적 소비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0(9), pp. 1413-1422.
  42. 김은주 (2008),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 디자인학연구, 21(5),p. 16.
  43. 양진숙 (2011),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의류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p. 343.
  44. Larry Percy (2011), IMC 접근법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양문희 역, 서울: 나남, p.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