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Growth,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s of Barnyard Millet

파종기에 따른 사료용 피의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 이정준 (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 김정곤 (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 성병열 (사)한국맥류산업발전연구원) ;
  • 송태화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 박태선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3.10.08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se experiments are being conducted to obtain data of plant height, panicle length, heading date, number of culm, and fresh and dry weight,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by six times seeding of 10 days interval ranging from May 1st to June 21st for two types of barnyard millet from the Suwon area in Korea. In the early-heading type, IT 170609 (Echinochloa crus-galli),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ulm per square meters are decreased by late seeding relatively, and heading date is 7 to 10 days earlier than the late seeding. And the dry weight of forage is rapidly decreased after the June 11th seeding. In the late-heading type, IT 195422 (Echinochloa frumentacea),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ulm per square meters are also decreased by late seeding relatively, and heading date is about 13 days earlier than late seeding. The dry weight of forage was rapidly decreased after the June 11th seeding. In both two types, the nutritive value of ADF, NDF, and TDN are not changed by late seeding, but crude protein is increased by late seeding. The TDN yields of late-heading type, IT 195400, show average amounts in the June 1st seeding, but the TDN yield of early-heading type, IT 170606, indicate safety amounts of dry weight to the March 21st seeding. And these data are available for cropping systems, cultivating barnyard millet in summer and cereals for forage in winter, to get high production of forage in Korea.

본 연구는 생태형을 달리한 사료용 피를 이용해서 파종기를 5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회 파종하여 생육, 사료 수량 및 사료가치를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생종 피의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작아졌고, 수장은 파종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다. 조생종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중부지방에서 조생종 피의 최대 건물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5월 1일까지는 파종기를 빨리하는 것이 유리하며, 안전한 조사료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생종 피의 초장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어지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수장 역시 초장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만생종 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은 경우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생종의 경우에 최대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5월 21일경에 파종을 하고, 안정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을 해야 한다. 조생종 피는 빨리 파종할수록 조사료 수량이 높아지고,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에 파종할 때 가장 수량이 높아 두 생태형 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절대적 수량은 만생종 피가 어느 파종기에서나 조생종 피에 비해 수량이 높아 실제 재배적 측면에서는 만생종 피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ADF 함량과 NDF 함량은 파종기의 차이에 따른 변화가 적었다. 만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ADF 함량과 NDF 함량의 경우에는 조생종 피의 경우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TDN 수량은 조사료 건물수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조생종 피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의 파종에서 가장 수량이 높아 적정 파종기로 판단되며, 두 생태형 모두 6월 1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안정적 수량을 얻을 수 있다. 동계 조사료작물을 도입한 작부체계에서는 동계작물의 종류에 따라 연중 최대생산을 얻을 수 있는 하계 사료피의 생태형과 파종기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계사료피+동계사료작물의 작부체계 구축에 파종기별 사료피의 수량성과 사료품질 특성은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N.K., Boo, C.H., Kang, Y.K. and Cho, Y.I. 2001a. Effects of nitrogen r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apanese millet. Journal of Korean Animal Science & Technology. 43:259-266.
  2. Cho, N.K., Kang, Y.K. and Boo, C.H. 2001b.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Japanese millet. Journal of Korean Animal Science & Technology. 43:253-258.
  3. Cho, N.K., Kang, Y.K., Song, C.K., Ko, Y.S. and Cho, Y.I. 2001c. Effects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in Jeju region. Journal of Korean Grassland Science. 21:225-232.
  4. Choi, B.H., Park, K.Y. and Park, R.K. 1991. Salt tolerance and green fodder and grain yields of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6:249-253.
  5. Chun, W.B. 1976. Studies on the growth and nutrient metabolism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Trin)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18:505-511.
  6. Goering, H.K.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onom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 C.
  7. Lee, H.W. 1981. Studies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for summer forage. - I.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performance of three Japanese millet cultivars.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23: 264-269.
  8. Lee, H.W. and Kim, D.A. 1980. Effect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growth, chem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of Japanese barnyard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F. Wight.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22:83-92.
  9. Lee, Y.S. 2010. Studie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Baranyard millet (Echinochoa spp.) Chungbuk University press 10-15.
  10. Seo, S., Kim, W.H., Jung, M.W., Lee, S.H. Kim, C.M., Choi, J.H., Kim, J.S., Kim, H.Y. and Lee, J.K. 2012. Forage quality and production of Phragmites communis as a native grass according to growth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109-116. https://doi.org/10.5333/KGFS.2012.32.2.109
  11. Shin, J.S., Kim, W.H., Lee, S.H. and Shin, H.Y. 2006. Comparison of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millet varieties in the reclaimed tidel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6:215-220. https://doi.org/10.5333/KGFS.2006.26.4.215

Cited by

  1.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s of Bermudagrass, Teffgrass and Kleingrass as Annual Forage Crop in Summer vol.35, pp.1,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1.36
  2.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