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Geological Field Trips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 Received : 2013.11.29
  • Accepted : 2013.12.27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emantic network about sedimentary environment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rough field trip. The fifteen high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field trip for this study. The geological field trip was performed in Chaseokgang, which suitable learning place for sedimentary environments. Data included field trip observation and students' inquiry activity reports. The inquiry activity reports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was larger and complex structures than that of the non-gifted students.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interpreted that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was connected with the sorting and the roundness. On the other hand, semantic network of non-gifted students were become fragmented because they were not interpreted sedimentary environment related to scientific concepts.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언어네트워크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각 15명의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퇴적환경의 학습장소로 적절한 채석강에서 야외 지질학습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야외지질학습 관찰 및 학생들의 탐구활동 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렇게 수집된 보고서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야외지질학습 동안 학습된 퇴적환경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는 과학영재들이 일반학생에 비해 더 크고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는 퇴적물을 이루는 자갈의 특성을 분급, 원마도 등의 개념과 관련지어 퇴적환경을 적절히 해석하고 있었지만 일반학생들은 퇴적환경과 관련된 개념이 파편화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3. 김경민, 차희영, 구슬애 (2011).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09-719.
  4.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제3판). 서울: 박영사.
  5.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1970-2006.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6. 나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9(1), 265-283.
  7.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8. 류춘렬 (2009).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분석: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0(1), 81-95.
  9. 맹승호, 박명숙, 이정아, 김찬종 (2007).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18-831.
  10.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11. 박경진, 정덕호, 조규성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
  12.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08-718.
  13. 박재문 (2009). 변산반도 국립공원 일대의 야외지질 및 해양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14.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2013).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82, 36-74.
  15. 박한우, 이연옥 (2009).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선거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6.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7. 소금현, 김정민, 심규철 (2009).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19-124.
  18. 안미정, 유미현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19.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20.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21. 이창길 (2010).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44(3), 165-189.
  22. 장혜자, 기혜옥, 운현선, 조복희 (2000).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의 언어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10(2), 25-46.
  23. 전경원 (2003).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24. 정덕호, 김영미, 이준기, 박선옥 (2013). 일반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차이. 영재교육연구, 23(2), 161-175.
  25. 정지숙, 신애경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57-162.
  26.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27.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정은, 조명아 (2011).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서울: 천재교육.
  28. 최영출, 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29. 한국지구과학회 (2007). 제1회 국제지구과학 올림피아드 최종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서울, 284 p.
  30. 한관종 (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의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31. Bullmore, E., & Sporns, O. (2009). Complex brain networks: graph theoretical 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system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186-198. https://doi.org/10.1038/nrn2575
  32.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9.tb00463.x
  33. Heitger, M., Ronsse, R., Dhollander, T., Dupont, P., Caeyenberphs, K., & Swinnen, S. (2012). Motor learning-induced changes in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as revealed by means of graph theoretical network analysis. Neuroimage, 61, 633-650.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2.03.067
  34.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35. Sporns, O., Honey, C. J., & Kotter, R., (2007).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hubs in brain networks. PLoS One, 2, e104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1049
  36. Sowa, J. F. (1984).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 Reading, MA: Addison-Wesley.
  37. Tomkins, S. P, & Tunnicliffe, S. D. (2001). Looking for ideas: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making by 12-year-old pupils undertaking science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8), 791-813. https://doi.org/10.1080/09500690119322
  38. van den Heuvel, M. P., Mandl, R. C. W., Stam, C. J., Kahn, R. S., & Hulshoff Pol, H. E. (2010). Aberrant frontal and temporal complex network structure in schizophrenia: A graph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Neuroscience, 30, 15915-15926. https://doi.org/10.1523/JNEUROSCI.2874-1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