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 김경민, 차희영, 구슬애 (2011).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09-719.
- 김용학 (2011). 사회 연결망 분석(제3판). 서울: 박영사.
-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1970-2006.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나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9(1), 265-283.
-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1), 79-107.
- 류춘렬 (2009).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분석: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0(1), 81-95.
- 맹승호, 박명숙, 이정아, 김찬종 (2007).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18-831.
-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 박경진, 정덕호, 조규성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
-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08-718.
- 박재문 (2009). 변산반도 국립공원 일대의 야외지질 및 해양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 박지영, 김태호, 박한우 (2013).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셀러브리티의 SNS 메시지 탐구:아이돌의 미투데이 메시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82, 36-74.
- 박한우, 이연옥 (2009).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선거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소금현, 김정민, 심규철 (2009).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습 양식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19-124.
- 안미정, 유미현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 이창길 (2010).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44(3), 165-189.
- 장혜자, 기혜옥, 운현선, 조복희 (2000).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의 언어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10(2), 25-46.
- 전경원 (2003).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 정덕호, 김영미, 이준기, 박선옥 (2013). 일반담임교사와 영재담당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차이. 영재교육연구, 23(2), 161-175.
- 정지숙, 신애경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57-162.
-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정은, 조명아 (2011).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서울: 천재교육.
- 최영출, 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 한국지구과학회 (2007). 제1회 국제지구과학 올림피아드 최종보고서. 한국지구과학회, 서울, 284 p.
- 한관종 (2003).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의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0(2), 219-235.
- Bullmore, E., & Sporns, O. (2009). Complex brain networks: graph theoretical 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system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186-198. https://doi.org/10.1038/nrn2575
-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9.tb00463.x
- Heitger, M., Ronsse, R., Dhollander, T., Dupont, P., Caeyenberphs, K., & Swinnen, S. (2012). Motor learning-induced changes in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as revealed by means of graph theoretical network analysis. Neuroimage, 61, 633-650. https://doi.org/10.1016/j.neuroimage.2012.03.067
-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 Sporns, O., Honey, C. J., & Kotter, R., (2007).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hubs in brain networks. PLoS One, 2, e104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1049
- Sowa, J. F. (1984). Conceptual structures: Information processing in mind and machine. Reading, MA: Addison-Wesley.
- Tomkins, S. P, & Tunnicliffe, S. D. (2001). Looking for ideas: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making by 12-year-old pupils undertaking science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8), 791-813. https://doi.org/10.1080/09500690119322
- van den Heuvel, M. P., Mandl, R. C. W., Stam, C. J., Kahn, R. S., & Hulshoff Pol, H. E. (2010). Aberrant frontal and temporal complex network structure in schizophrenia: A graph theoretical analysis. Journal of Neuroscience, 30, 15915-15926. https://doi.org/10.1523/JNEUROSCI.2874-1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