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arbon Emissions Calculation from Old Buildings Downtown Area

노후도심 지역의 건축물 탄소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 최정만 (자림 이앤씨) ;
  • 오대석 (자림 이앤씨) ;
  • 김형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건축연구실) ;
  • 최기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건축연구실) ;
  • 유영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건축연구실)
  • Received : 2012.12.06
  • Published : 2013.12.25

Abstract

In this study, the carbon emissions from old buildings in selected regions of the Masan downtown area were estimated. Recently, there has been research on the carbon emissions in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in Korea.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specific areas of a city containing severely old buildings for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As for the IPCC guideline, which is used to estimate the carbon emission based on the amount of energy used by the target area, data on public energy sources can be easily obtained and utilized, whereas it is difficult to make an accurate estimation of the individual energy sources. The carbon emission calculation method of using the basic unit of nationwide and regional areas is deemed in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in an old city center as they are average estimates of carbon emissions from the entire nation and metropolitan areas.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in an old city center, representative buildings were selected and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perform an energy simulation. The carbon emissions from the building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year of construction, were estimated and the resulting values were multiplied by the gross floor area of buildings of the same pattern as a means to estimate the total carbon emiss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경, 경기도 시군 지자체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12
  2. 한국환경공단,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ver.2.0) 2011.12
  3. 최기선, 김형도, 김준희, 윤용상, 유영찬, 전주 구도심 주거지 역의 건축물 CO2 발생량 분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가을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2호, p.p.27-28, 2012.11
  4. 최정만, 유영찬, 오대석, 최기선, 김형도, 도시재생을 위한 건축물의 탄소발생량 산출 방법 및 개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2, no.2, 2012.11
  5. 환경부, 환경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2008
  6. 홍도영, 패시브하우스 설계&시공디테일, 주택문화사, 2012
  7. ISO 7730:2005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 Analytical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rmal comfort using calcul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local thermal comfort criteria
  8. 고재경 외,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경기도의 대응방안, 경기개발 연구원, 2006
  9. 이명균, 대구지역 온실가스 현황 및 목표에 따른 기후변화 대응 대책,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2008
  10. 임재규 외, 기후변화협약 제3차 국가보고서 작성을 위한 기반 구축연구(제2차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2006
  11. 문용운, 기후변화대응 저탄소 시범도시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온실가스 저감전략수립 심포지운, 2008
  12.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인, 이명균, 황병근, 상향식 모델을 이용한 지자체산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안 연구, 2009.11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승언, 강재식, 김영우, 최경석, 정영선, 최현중, 배누리, 기후변화 대응 건축물의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구, 2009.06
  14. 전북발전연구원, 장남정, 김보국, 모영환, 유승수,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전라북도 온실가스 저감전략, 2008
  15. 최두성 ; 김신도, 대학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분석에 따른 탄소배출량 산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31 n.1(계획계) (2011-04)
  16. 이충국, 서승직, 국내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용도별.지역별 온실가스 배출원단위분석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10-06)
  17. 이나은, 한혜심, 안병립, 정학근, 장철용, 기존건물의 시뮬레이 션 및 실측 데이터를 활용한 냉방에너지 절감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29 n.4 (2013-04)
  18. 서원준, 박철수,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모델 작성과 실제 적용,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