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Spatiality of School Choice through Residential Mobility: A Preliminary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거주지 이동을 통한 학교 선택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초등학생의 전학 양상을 사례로 한 시론적 분석

  • Lee, Hwaj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I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Daeheon (BK21 Plus for Geography department(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화정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상일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 조대헌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BK21플러스 4-Zero 지향 국토공간창조 사업단)
  • Received : 2013.12.08
  • Accepted : 2013.12.20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choice through residential mobility by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iddle schools' entrance rates to special high schools and the elementary schools' net transfer rates. Analyses are done at both the individual school level and the school catchment area level. Prior to the calculation, the two variables involv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re transformed via a standardization equation, and the standardized scores are mapped and explored. Both the global and local correlation analyses are done for the standardized variables. Main findings are twofold. First, the global correlation analysis reports that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t both the analytical levels. Second, albeit the prominent positive correlation at the global level, the local analysis reveals the existence of a considerable level of spatial heterogeneity in terms of bivariate association. While several school catchment areas with very high local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HH association type) are popped up, other areas with various types of bivariate association including ones even opposite to the global trend are also observed.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중학교의 특목고 진학률과 인근 초등학교의 순전입률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거주지 이동 혹은 전학이라는 기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교 선택 양상의 공간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 수준을 개별 중학교 수준과 중학구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새로운 표준화 기법을 적용해 두 변수를 표준화하였다. 표준화된 두 변수를 지도화하여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았으며, 최종적으로 두 변수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전역적 수준과 국지적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역적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중학교 수준과 중학구 수준 모두에서, 특목고 진학률과 순전입률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국지적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 이변량 연관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변수 모두에서 높은 값을 가지면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중학구가 확인됨과 동시에, 전역적 경향성과는 다른 다양한 이변량 연관의 양상을 보여주는 중학구 역시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