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261호.
- 강대훈, 백성혜, 박국태(2004). 용해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유형 및 교사들의 지도 실태. 대한화학회지, 48(4), 399-413. https://doi.org/10.5012/jkcs.2004.48.4.399
-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입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 곽상원, 최병순(2012).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밀도에 관한 내용교수지식 수준과 그에 따른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 대한화학회지, 56(1), 128-136. https://doi.org/10.5012/jkcs.2012.56.1.128
-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 김도욱(1992). 끓는점 오름의 학습에서 세 가지 수업모형의 효과 비교-연역식, 귀납식, 비유를 사용한 수업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35-46.
- 김성혜, 이은실, 백성혜(2008).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화학전공교사의 사고유형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91-301.
-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2010). 과학 교사 양성과정에서 과학교육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85-798.
- 김희준, 김호성, 이보경, 이수미, 이영식, 이정희, 이진승, 이희나, 조향숙(2011). 고등학교 화학II. (주)상상아카데미:파주.
- 노태희, 최성신, 강석진, 이순영, 배병일, 고숙영, 주영, 최숙영(2011). 고등학교 화학II. 천재교육:서울.
-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 류해일, 김창석, 이광필, 이종백, 박상배, 강승구, 김용연, 이희권(2011). 고등학교 화학II. 비상교육:서울.
-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26-241.
- 박종석, 윤용, 정지오, 조은미, 류시경(2011). 고등학교 화학II. (주)교학사:서울.
-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 방은정, 백성혜(2010).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19-738.
- 방은정, 백성혜(2012).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 전략을 통한 교수지향 분석. 대한화학회지, 56(2), 274-289.
-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65-582.
- 윤지현, 임희준, 박지애, 노태희(2012). 멘토링을 통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PCK 특징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 고찰. 초등과학교육, 31(1), 99-108.
- 윤희숙, 정대홍(2006).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05-812.
- 이기영(2009).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30(3), 330-343.
- 이송연, 김성혜, 백성혜(2010).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연구. 대한화학회지, 54(6), 787-798.
- 이송연, 민희정, 원정애, 백성혜(201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21-640.
- 이지희, 정진우, 우종옥(2002).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대기압에 관련된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60-570.
- 임청환(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35-249.
- 장효순(2009).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장효순, 최병순(2010).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70-885.
-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 정행남, 최병순(2013).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63-78.
-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과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 최경숙, 원정애, 백성혜(2011). '전기 회로 꾸미기' 단원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PCK 특성. 초등과학교육, 30(3), 315-329.
-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 최미화, 이덕환, 박준우(2004). 중등 화학 교육 과정에 대한 물리화학적 고찰:(1) 상변화와 상평형. 대한화학회지, 48(3), 300-310.
-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 허미연, 백성혜(2009). 용해와 확산에 관련된 혼합 현상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사고 특성. 대한화학회지, 53(5), 585-608.
- 홍미영, 전경문, 이범홍, 이양락(2002).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II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204-213.
- Atkins, P., & de Paula, J. (2006). Physical Chemistry(7th edition). Oxford:U.K.
- Bullough Jr, R. V. (2001).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irca 1907 and 1987: A study in the history of an ide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655-666.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22-1
-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m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4004
- Gess-Newsome, J. (1999).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51-9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itied from Hashweh(2005).
- Hashweh, M. Z.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 273-292. https://doi.org/10.1080/13450600500105502
- Loughran, J.J., Gunstone, R.F., Berry, A., Milroy, P., & Mulhall, P. (2000, April). Science cases in action: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USA.
- Loughran, J., Berry, A., & Mulhall, P. (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otterdam: Senses Publishers.
- Loughran, J., & Nilsson, P. (2012).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Elementary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 699-721. https://doi.org/10.1007/s10972-011-9239-y
-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Pignatelli, F., & Pflaum, S. (1992). Celebrating diverse voice. CA: Corwin Press, Inc.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 1-22.
- Tobin, K & McRobbie, C. K.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15-23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22-35.
- Zumdahl, S. S., & Zumdahl,S.A. (2008). Chemistry(7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USA.
Cited by
-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93
-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vol.55, pp.2,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2.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