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병연, 오희균(2009). 중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과학 학습 불안 및 학업 성적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연구지, 33(1), 35-53.
-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 권치순, 허명, 양일호, 김영신(2004).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56-1271.
- 김경식, 이현철(2009).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 33(1), 100-110.
- 김계수(2007).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 김대업(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 방정식 모형분석. 경기: 학현사.
- 김동현, 김효남(2013).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정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444-465.
- 김미영, 조지민(2013). TIMSS 결과에 기초한 과학의 정의적 성취 특성 및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46-62.
- 김민성(2009). 학습상황에서의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아시아교육연구, 10(1), 73-98.
- 김상달, 이상균, 최성봉(2010).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실태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 191-197.
-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92-300.
- 김운배, 김효남(2000). 질문지법과 문화기술적 방법에 의한 초등학교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19(1), 1-13.
- 김은진, 양명희(2011).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 상황의 정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3), 501-521.
- 김홍정, 이진우, 임성민(2013).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17-29.
-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배정민(2012). 그림으로 이해하는 닥터 배의 술술 보건의학통계.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 송영욱, 김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 송인섭, 최지혜(2011). 학업정서의 영역성 탐색: 영역일반성, 영역특수성, 영역 복합성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1(4), 227-243.
- 양일호, 심현섭, 임성만(2013).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와 과학흥미도 조사 및 상관관계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40-49.
- 양태연, 박상우, 박인호, 한기순(2005).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본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불안도의 관계와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84- 296.
- 이미경, 김경희(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 이미경, 정은영(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 이보열, 최승일(2003).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관심과 이공계대학 진학 희망에 대한 조사.탐구 : 사대부고 2학년 김경민.김지혁.조민정 유봉여고 2학년 송남희.임미정.최미 학생과 함께. 강원과학교육연구회지, 8(1), 61-70.
- 이은경, 이양희(2006). 아동용 정서경험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4), 93-115.
- 이재천(1993).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불안도 측정도구 개발 및 과학불안 경향성 분석. 과학교육논문집, 3(1), 343-343.
- 이재천, 김범기(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9(1), 21-34.
- 이학식, 임지훈(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서울: 법문사.
- 임성만(2010).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활성화체계에 대한 척도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임성민, 박승재(2000). 중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491-504.
- 정재훈, 김영신(2011). 초등교사의 과학과 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0(1), 1-9.
- 정진우, 김현정, 문병찬, 김진국, 남궁덕, 김형기(2005). 초등학생의 과학 불안 감소를 위한 개념도 수업 전략의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15(1), 42-50.
- 정진우, 정병석, 이명란(1994).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1), 19-33.
- 조선형, 유인협(1997).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6 (1), 69-82.
- 탁진국(1997).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 서울: 학지사.
- 허혜자(1996). 수학불안 요인에 대한 연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임상, 19(1), 161-177.
-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Boston, Mass,: Allyn and Bacon, Inc. 변창진, 문수백 공역 (1987). 정의적 특성의 사정-정의적 척도의 개발 절차와 선발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 Baram Tsabari, A., & Yarden, A. (2009). Identifying meta clusters of students'interest in science and their change with a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99-1022. https://doi.org/10.1002/tea.20294
- Barmby, P., Kind, P. M., & Jones, K. (2008). Examining changing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8), 1075-1093. https://doi.org/10.1080/09500690701344966
- Clore, G. L.,& Ortony, A. (2010). Apprasial Theories: How cognition Shapes Affect into Emotion. In Lewis, M., Haviland-Jones, J. M., & Barrett, L. F. (2010). Handbook of emotions. The Guilford Press.
- Czerniak, C., & Chiarelott, L. (1987). Speaking Out: Science Anxiety: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The Clearing House, 60(5), 202-205.
- Ellsworth, P.C., & Scherer, K.R. (2003). Appraisal processes in emotion. In R.J. Davidson, K.R., Scherer, & H.H. Goldsmith (Eds.), Handbook of affective sciences (pp. 572-59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Forgas, J. P., & George, J. M. (2001). Affective influences on judgments and behavior in organizations: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6(1), 3-34. https://doi.org/10.1006/obhd.2001.2971
- Fraser, B. (1981). TORSA: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Hawthorne, VIC.
- Frenzel, A. C., Pekrun, R., & Goetz, T. (2007).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A multilevel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s. Learning and Instruction, 17(5), 478-493.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7.09.001
- Frijda, N.H. (1988). The law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3(5), 349-358. https://doi.org/10.1037/0003-066X.43.5.349
- Goetz, T., Frenzel, A. C., Pekrun, R., & Hall, N. C. (2006). The domain specificity of academic emotional experienc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5(1), 5-29. https://doi.org/10.3200/JEXE.75.1.5-29
-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https://doi.org/10.1037/1089-2680.2.3.271
- Gross, J. J., & Thompson, R. A. (2007). Emotion regulation: Conceptual foundations.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3, 24.
- Hall, N. (2005). The structure of students'emotions experienced during a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ZDM, 37(3), 221-225. https://doi.org/10.1007/s11858-005-0012-6
-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allow, J. (1981). Science anxiety: Fear of science and how to overcome it.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 Martin, M., Mullis, I., Foy, P., & Stanco, G.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science. Chestnut Hill, M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Boston College.
- Meyer, D. K., & Turner, J. C. (2006). Re-conceptualizing emotion and motivation to learn in classroom contex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77-390. https://doi.org/10.1007/s10648-006-9032-1
- Misitomu, A. I. (2012). An exploration of year 10 students' motivation,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learning chemistr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ikato), 1-160.
- Pekrun, R.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https://doi.org/10.1007/s10648-006-9029-9
- Pekrun, R., Goetz, T., Frenzel, A. C., Barchfeld, P., & Perry, R. P.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1), 36-48.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0.10.002
- Pekrun, R., Goetz, T., Titz, W., & Perry, R. P. (2002).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91-105.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2_4
- Rea, L. M., & Parker, R. A. (2012). Designing and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John Wiley & Sons.
- Sansone, C., & Thoman, D. B. (2005). Interest as the Missing Motivator in self-Regilation. European Psychologist, 10(3), 175-186. https://doi.org/10.1027/1016-9040.10.3.175
- Zembylas, M. (2004a). Emotional issues in teaching science: A case study of a teacher's view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4), 343-364. https://doi.org/10.1007/s11165-004-0287-6
- Zembylas, M. (2004b). Young children's emotional practices while engaged in long term science investig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7), 693-719. https://doi.org/10.1002/tea.20023
Cited by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EBS Clipbank in Elementary Science Class vol.34, pp.1,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1.032
-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vol.45,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41
-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vol.37, pp.2,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35
- 초등학교 과학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적용 효과 vol.41, pp.1, 2013, https://doi.org/10.21796/jse.2017.41.1.80
-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vol.36, pp.2,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