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3학년 '물질의 상태' 단원에 제시된 예의 기능별 유형 분석 및 학생들의 이해

Analysis of Examples Categorized by Function in the 'States of Matter' Chapter of Third Grade Science Textbooks and Students' Conceptions

  • 투고 : 2013.06.10
  • 심사 : 2013.10.31
  • 발행 : 2013.12.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예를 기능적 유형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틀에 따라 교과서에서 부족한 사례를 찾고, 이를 근거로 학생들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는 설문을 개발하였다. 설문을 157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 명료화 사례가 제시된 고체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상태에 대한 개념 이해도가 높았다. 그러나 액체나 기체의 개념은 이러한 사례가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이해도도 낮았다. 액체와 기체의 경우 안개나 김과 같은 대조의 사례와 확장의 사례를 과학 교과서에 제시함으로써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에 관련된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amples represented in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function types for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analysis, we selected lacking examples in the textbooks,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157 third grade students to survey their conceptions related to matter states and change of states. The ratio of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solid the state was high because distinct examples we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 However, the ratios of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liquid and gas states were low because there were no distinct examples in the science textbook. Contrast examples and expansive examples of liquid and gas such as fog and steam need to be re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help students construct scientific conceptions of matter states and change of sta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동식(1988).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33-42.
  2.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3. 김선경, 김영미, 백성혜(2007).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37-345.
  4. 김현재, 남희정(1997). 물질에 대한 아동들의 선개념 및 수업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135-152.
  5. 길임주(1982). 예문제시방법이 개념획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석구(2008). 액체 상태에서의 현상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설명, 초등과학교육, 27(4), 371-384.
  7. 백성혜, 박진옥, 박재원, 임명혁, 고영미, 김효남, 조부경(2001),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연계성을 위한 탐구능력 분석-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0(1), 91-106.
  8. 신동로와 이강님(2005). 중학생들의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오개념 분석, 교육방법연구, 17(2), 223-242.
  9.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10. 이혜원, 민병미, 손연아(2012). 초등학생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 학습전략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95-112.
  11. 이훈주(1990). 선행 예의 이용이 문제유형의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주경(2012).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에 대한 예의 기능적 유형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광희(2005). 과학 수업에서 예의 사용과 학생의 개념 이해 : 중학교 역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조희영,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5. 주정은, 차희영(2007). 관찰에 의한 분류하기 탐구능력 준거 개발, 초등과학교육, 26(4), 407-417.
  16. 최경숙(2003).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18. 최현동, 양일호, 권치순(2005). 초등학생의 분류능력 발달의 경향성, 초등과학교육, 24(3), 281-291.
  19. 홍석준, 손연아(2011). 중학생의 기초탐구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41-662.
  20. Anderson, J. R., Farrell, R., & Sauers, R. (1984). Learning to program in LISP. Journal Cognitive Science. 8(2), 87-129.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802_1
  21. Bruner, J. S., Goodnow, J. J., & Austin, G. A. (1956). A study of thinking, New York: John Wilely. Re-cited from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2nd ed. op. cit.
  22.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1986).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Merrill Publishing Company: Columbus, 255-258.
  23.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4. Gagne, R. M. (1965). The Conditions of Learn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5. Mil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6. Harms, N. C., & Yager, R. E. (1981).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3. Washington, D.C.: NSTA.
  27. Johnstone, A. H. (1992). Thinking about thinking-A prac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Kempa, R. F. & Waddington, D. J.(ed.). Briging Chemistry to Life, Proceedings of the El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Education, 69-76.
  28. Krnel, D., & Watson, R. (2005). The development of the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367-383. https://doi.org/10.1080/09500690412331314441
  29. Osborne, R. J.,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
  30. Stavy, R. (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31. Stavy, R., & Stachel, D. (1985). Children's ideas about 'solid' and 'liqui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4), 407-421. https://doi.org/10.1080/0140528850070409
  32. Tsai, C. C. (1998). Overcoming eight graders' misconceptions about microscopic views of phase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0510).
  33. Woodward, A., & Elliott, D. L. (1990). Textbooks: Consensus and controversy. In Textbooks and 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Eight-ni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cussion on Their Conceptual Changes Related to Three States of Matter and Analysis of Results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vol.59, pp.4,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4.320
  2.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60, pp.6,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6.415
  3.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및 화학 I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산·염기 모델 내용에 대한 '이그노런스' 분석 vol.64, pp.3, 2013, https://doi.org/10.5012/jkcs.2020.64.3.175
  4. 고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산-염기 모델의 인지 수준 분석 vol.65, pp.1, 2021, https://doi.org/10.5012/jkcs.2021.6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