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동식(1988).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33-42.
-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 김선경, 김영미, 백성혜(2007).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337-345.
- 김현재, 남희정(1997). 물질에 대한 아동들의 선개념 및 수업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135-152.
- 길임주(1982). 예문제시방법이 개념획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석구(2008). 액체 상태에서의 현상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설명, 초등과학교육, 27(4), 371-384.
- 백성혜, 박진옥, 박재원, 임명혁, 고영미, 김효남, 조부경(2001), 유치원, 초등, 중등 과학 교재의 연계성을 위한 탐구능력 분석-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0(1), 91-106.
- 신동로와 이강님(2005). 중학생들의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오개념 분석, 교육방법연구, 17(2), 223-242.
-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 이혜원, 민병미, 손연아(2012). 초등학생의 과학탐구기능 향상을 위한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교수, 학습전략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95-112.
- 이훈주(1990). 선행 예의 이용이 문제유형의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주경(2012).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에 대한 예의 기능적 유형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광희(2005). 과학 수업에서 예의 사용과 학생의 개념 이해 : 중학교 역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희영,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 주정은, 차희영(2007). 관찰에 의한 분류하기 탐구능력 준거 개발, 초등과학교육, 26(4), 407-417.
- 최경숙(2003).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 최현동, 양일호, 권치순(2005). 초등학생의 분류능력 발달의 경향성, 초등과학교육, 24(3), 281-291.
- 홍석준, 손연아(2011). 중학생의 기초탐구기능 이해를 위한 명시적 교수, 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41-662.
- Anderson, J. R., Farrell, R., & Sauers, R. (1984). Learning to program in LISP. Journal Cognitive Science. 8(2), 87-129. https://doi.org/10.1207/s15516709cog0802_1
- Bruner, J. S., Goodnow, J. J., & Austin, G. A. (1956). A study of thinking, New York: John Wilely. Re-cited from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2nd ed. op. cit.
- Collette, A. T., & Chiappetta, E. L. (1986).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Merrill Publishing Company: Columbus, 255-258.
-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Gagne, R. M. (1965). The Conditions of Learn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Mil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 Harms, N. C., & Yager, R. E. (1981).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3. Washington, D.C.: NSTA.
- Johnstone, A. H. (1992). Thinking about thinking-A practical approach to practical work. in Kempa, R. F. & Waddington, D. J.(ed.). Briging Chemistry to Life, Proceedings of the El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Education, 69-76.
- Krnel, D., & Watson, R. (2005). The development of the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3), 367-383. https://doi.org/10.1080/09500690412331314441
- Osborne, R. J.,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
- Stavy, R. (1988).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53-560.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508
- Stavy, R., & Stachel, D. (1985). Children's ideas about 'solid' and 'liquid'.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4), 407-421. https://doi.org/10.1080/0140528850070409
- Tsai, C. C. (1998). Overcoming eight graders' misconceptions about microscopic views of phase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Diego(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0510).
- Woodward, A., & Elliott, D. L. (1990). Textbooks: Consensus and controversy. In Textbooks and 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Eight-ni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ited by
-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cussion on Their Conceptual Changes Related to Three States of Matter and Analysis of Results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vol.59, pp.4,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4.320
-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60, pp.6,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6.415
-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및 화학 I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산·염기 모델 내용에 대한 '이그노런스' 분석 vol.64, pp.3, 2013, https://doi.org/10.5012/jkcs.2020.64.3.175
- 고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산-염기 모델의 인지 수준 분석 vol.65, pp.1, 2021, https://doi.org/10.5012/jkcs.2021.6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