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Cinema and the Installation Art based on Case Studies

사례 분석을 통해서 본 영화와 설치 예술의 상호관계성

  • 양승수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 방승애 (숭실대학교 글로벌 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3.10.31
  • Accepted : 2013.12.0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paper derive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installation art through specific case studies about the point of the intersection of the two genres. It nee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painting and photography and the relationship of silent film and the relevance of the work of art in the 1920s. After painting over the installati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art and through the mise en scene of the film, ie, the screen image of the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or cinematic work of art for the film can be found in the application of practices. First, in Chapter 2, this study works of art practices through the analysis of fil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enres based practices for secure sex. In Chapter 3 the movie 'Wonderful Life' and installation art work "hand mem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cases specifically for the point of intersection analysis. 'Wonderful Life' and 'hand' Remember each subject and conceptual work in terms of 'memory' that it is represented on similar, but, film and installation art genr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way the media represented by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forms of otherwise appear. If so, this study film and installation art practi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cases to derive mutual relationship by analyzing two cases in detail what each of the different looks at whether any similarity in that.

본 논문은 영화와 설치 예술 작품의 상호관계성을 도출하고자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두 장르가 교차되는 지점에 대해서 살펴본다. 영화와 설치 예술의 관계는 회화와 사진의 관계성부터 시작하여 1920년대 무성영화와 예술 작품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작업까지 거슬러 올라가야할 필요가 있다. 이후에는 회화 작품을 넘어 설치 예술 작품과의 관계성 모색을 통해 영화의 미장센, 즉 화면 구성 및 배치 혹은 영화적 이미지를 위해 예술 작품을 영화에 응용하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2장에서 영화와 예술 작품 사례 분석을 통해 두 장르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근거 사례를 확보한다. 3장에서는 영화 '원더풀 라이프'와 설치 예술 작품 '수공기억'의 두 사례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교차되는 지점에 대해서 분석한다. '원더풀 라이프'와 '수공기억'은 각각 작품 주제와 개념적 측면에서 '기억'에 대한 표현이라는 점은 유사하지만, 영화와 설치 예술이라는 장르적 차이로 인한 매체 표현 방식의 상이함으로 인해 결과물의 형태는 다르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본 연구는 영화 사례와 설치 예술 작품 사례의 비교 작업을 통한 상호관계성을 도출하기 위해 두 사례를 각각 분석함으로써 세부적으로 무엇이 다르며 어떠한 점에서 유사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배츨러, 정무정 역, 미니멀리즘, 열화당, 2003
  2. 줄리아나 브루노, 정용도 역, 퍼블릭 인티머시, 시각예술의 공간적 확장, Pixelhouse, 2011.
  3. 앙리 베르그손, 박종원 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4.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5.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02.
  6. 김수현, "미니멀, 개념미술과 실험영화: Michael Snow & Ken Jacobs",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6호 (2007,2), pp.198-225.
  7. 장민용,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43호, 2010, pp.333-354
  8. 박혜란, "나는 누군가의 행복한 기억: 원더풀 라이프", 월간 샘터 제33권 1호, 2002, pp.102-103.
  9. 반이정, 정연두 작가론(국제갤러리 2008년 정연두 개인전 '수공기억' 서문), http://blog.naver.com/dogstylist?Redirect=Log&logNo=40060318858
  10. Giuliana Bruno, Public Intimacy, Architecture and the visual arts, The MIT Press, 2007
  11. Henri Bergson, Matter and memory, DoverPublications. com, 2004.
  12.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contents_id=26 2013.10.25
  13.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contents_id=26 201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