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und Footage Film of Self-Reflexivity

자기반영적 파운드 푸티지 필름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2.0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Found Footage Film has been increasingly addressed between film and visual art world in the age of rapid media change. With regards to this self-conscious found footage filmmaking, narrative structures are unraveled to relate new stories, images are removed from their original context only to reappear in a different context, new layers that alter the meaning are added, stereotypes from Hollywood movies are exposed, and new montages are used to destroy the illusion of the medium itsel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riginal material are also emphasized or altered in order to add a new meaning.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recognition of the origin of found footage film. It traces back to the found object from primitive impulse and found art from Dada and surrealism. Many found footage films have been at least partly inspired by Duchamp's ready-mades. These films use footages that the filmmakers did not shot, and even footage that was never intended as art. This essay deals with the found footage practices and interrogates the aesthetic implications by the concept of self-reflexivity. Self-reflexivity means consciousness turning back on itself, and found footage film is about films which call attention to themselves as cinematic constructs. It breaks with art as illusionism and exposes their own factitiousness as textual constructs. Furthermore, the inevitable mortality of celluloid and temporal reconstruction of original film will be treated. Recentely, many attention has been given to role of Found Footage Film. I hope to add the understanding of the artistic found footage film with this study.

오늘날의 급변하는 매체환경 속에서 파운드 푸티지 필름메이킹은 영화를 포함한 시각예술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영상제작 방식이다. 기존의 필름 푸티지들을 전유하여 새로운 의미와 맥락을 만들어 내는 파운드 푸티지 필름은 영화 스스로 자신의 매체를 검토하고 성찰하는 자의식적 장르이다. 본 논문에서는 파운드 푸티지 필름에서 중요한 지점을 담당하는 발견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 기원을 원시 시대의 예술적 충동에 이어 다다와 초현실주의의에서 찾았다. 또한 파운드 푸티지 필름의 중요한 특징을 자기반영성으로 보고 이를 파운드 아트와 연계하여 논의를 진행시켰다. 덧붙여 유희적이거나 도발적으로 환영주의적 예술의 허점과 결함, 그리고 봉합 자국에 주의를 환기시키며 스스로를 드러내는 모더니즘적 자기반영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파운드 푸티지 필름메이커들이 취하였던 다양한 방법들 중 세 가지 방식을 축으로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이는 첫째, 필름의 물질적 구조를 드러내어 환영성을 폭로하고 탈신비화 시키는 방식, 둘째, 소멸되어가는 셀룰로이드의 유한성을 강조하여 필름의 물질성과 역사성을 환기시키는 방식, 셋째, 시간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과거의 기록과 기억에 관여하며 새로운 지각을 환기시키는 방식들로 나뉘어 제시되었다. 셀룰로이드가 역사적, 예술적 매체로 보존되어야만 하는 작금의 시기에 필름을 재사유하고 재생산하는 자기반영적 파운드 푸티지 필름에 대한 고찰은 시각매체연구에서 필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시네마와 미술의 경계에 서있는 파운드 푸티지 필름에 대한 본 연구가 과거와 이어져있는 우리의 현 위치를 성찰하고 영상 문화를 이해하는데 부분적으로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심혜련, 20세기의 매체철학, 그린비, 2012.
  2. 이용관, 전위영화의 이해-멜리에스에서 백남준까지, 예니, 1991.
  3.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4. A.L.리스, 성준기 역 실험영화와 비디오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5.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정헌 역,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 로버트 스탬, 오세필 구종상 역,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한나래, 1998.
  7. 마단 사럽, 전영백 역,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05.
  8. 마이클 오프레이, 양민수.장민용 역, 아방가르드 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마크 에론슨. 장성봉 역, 도발: 아방가르드의 문화사, 이후. 2002.
  10. 아담스 시트니, 박동현 외 역. 시각영화-20세기 미국 아방가르드, 평사리, 2005.
  11. 클레멘트 그린버그, 조주연 역, 예술과 문화, 경성대학교출판부, 2004.
  12. 토마스 엘새서⋅케이 호프만, 김성숙 외 역, 디지털 시대의 영화, 한나래, 2002.
  13. 페터 뷔르거, 최성만 역,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식을 만드는 지식 클래식, 2009.
  14. 서현석, "카메라를 버린 사람들", 한국영화학회, Vol.30, 2006
  15. 서현석, "다큐멘터리와 아방가르드의 접점에서", 한국영화학회, Vol.43, 2010
  16. 전혜숙 "비디오아트에 나타난 변형된 시간성의 의미-더글라스 고든과 빌 비올라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Vol.29, 2008
  17. Giovanna Fossati, Jaap Guldemond, Marente Bloemheuvel, Found Footage Cinema Expos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2.
  18. Steve Anker⋅Kathy Geritz⋅Steve Seid, Radical Ligh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19. Tom Gunning, "The Cinema of Attraction: Early Film, Its Spectator and the Avant-Garde", Wide Angle 8, no 3-4 (1986)
  20. Catherine Russell, Archival Apocalypse: Found Footage as Ethnograph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1999,